아프간 "러시아 용감한 결정, 다른 국가들에 본보기 될 것"

(워싱턴·자카르타=연합뉴스) 조준형 박의래 특파원 = 러시아 정부가 3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정부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탈레반이 임명한 주러 아프간 대사가 제출한 신임장을 제출받았다면서, 이번 탈레반에 대한 공식 정부 인정이 "생산적인 양국의 협력 관계"를 발전시킬 것이라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이어 에너지, 교통, 농업, 인프라 분야에서 경제 협력 가능성을 강조했으며 아프간이 지역 안보를 강화하고 테러 및 마약 밀매 위협에 맞서 싸우는 것을 지속해서 지원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표는 아프간 탈레반 외무장관 아미르 칸 무타키와 주아프간 러시아 대사 드미트리 지르노프가 아프간 수도 카불에서 회담한 후 나왔다.
무타키 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에 게시된 회담 영상에서 "이 용감한 결정은 다른 국가들에 하나의 본보기가 될 것"이라며 "이제 승인 절차가 시작됐고, 러시아가 그 누구보다 앞서 나섰다"고 말했다.
아프간 외교부 대변인 지아 아흐마드 타칼은 AFP에 "러시아는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Afghanistan Islamic Emirate·탈레반이 정한 자국 국호)을 공식적으로 승인한 첫 번째 국가"라며 이번 조치가 "긍정적인 관계, 상호 존중, 건설적인 교류의 새로운 단계"라고 밝혔다.
하지만 아프간 인권 운동가들은 이번 결정을 즉각 비판하고 나섰다.
마리암 솔라이만킬 전 아프간 국회의원은 "이 조치는 여아 교육을 금지하고, 공개 태형을 시행하며, 유엔 제재 테러리스트들을 숨겨주는 정권을 정당화하는 행위"라며 "전략적 이해관계가 인권과 국제법보다 항상 우선시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이슬람 원리주의 세력인 탈레반이 2021년 아프가니스탄의 정권을 재장악한 이후 타국이 탈레반을 아프간을 대표하는 정부로 공식 인정한 첫 사례라고 AP통신은 소개했다.
앞서 탈레반 외교부는 전날 성명을 통해 자신들이 파견한 주러시아 대사가 러시아 정부 승인에 따라 공식 임무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탈레반은 2021년 미군이 철수를 선언하자 약 20년 만에 아프간을 재장악했지만 지난 4년간 국제 사회는 탈레반을 아프간 정권으로 공식 인정하지 않아 왔다.
이런 상황에서 러시아는 탈레반이 집권한 이후 가장 먼저 카불에 대표부를 개설했으며 각종 국제 행사에 탈레반 대표단을 초청하는 등 외교 관계를 강화해 왔다.
지난 4월에는 러시아 대법원이 "테러리스트 단체 지정 목록에 포함된 탈레반 운동에 대한 금지를 중단한다"며 22년 만에 탈레반의 러시아 내 활동 금지 조치를 해제하라고 결정하기도 했다.
러시아 외에 중국과 아랍에미리트(UAE),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등이 탈레반이 임명한 대사를 받아들였다.
jhcho@yna.co.kr, laecor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