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46.6%·김문수 37.6%·이준석 10.4%…李·金 소폭 하락[리얼미터](종합)
연합뉴스
입력 2025-05-24 10:46:24 수정 2025-05-24 16:53:57
양자 대결, 이재명 51.1%·김문수 43.9%…이재명 48.9%·이준석 37.0%
민주 43.5%·국힘 37.8% 오차범위 내…정권교체 52.9%, 정권연장 40.8%
리얼미터 "이재명 지지율 하락세…이준석 '완주 선언·TV토론' 효과 상승"


유세하는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후보(의정부·하남·광주=연합뉴스) 20일 의정부 로데오거리서 유세하는 이재명 후보(왼쪽부터), 하남서 유세하는 김문수 후보, 19일 전남대 유세서 지지자들과 사진 찍는 이준석 후보

(서울=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6·3 대선 다자 대결 구도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46.6%,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37.6%,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10.4%의 지지율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4일 나왔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2∼23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천9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선주자 적합도를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 포인트)한 결과에 따르면 이같이 집계됐다.

직전 조사(20∼21일)보다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는 각각 1.5%포인트(p), 1%p씩 하락했고, 이준석 후보는 1%p 올랐다.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지난주 조사(9.5%p)보다 0.5%p 좁혀진 9%p를 기록했다.

리얼미터는 "이재명 후보는 여전히 선두를 지키고 있지만, 지지율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김문수 후보와의 격차를 한 자릿수로 유지하고 있다"며 "이준석 후보는 '단일화 거부 및 완주 선언' 전략과 TV 토론 효과로 두 자릿수 지지율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1.0%p 상승한 1.6%, 무소속 황교안·송진호 후보는 각각 0.9%, 0.3%였다.

응답자 이념 성향별로 살펴보면 중도층에서는 이재명 후보 48.4%, 김문수 후보 32.4%, 이준석 후보 14.6% 순으로 집계됐다.

무당층에서는 김문수 후보 35.8%, 이재명 후보 27.4%, 이준석 후보 14.8%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에서는 김문수 후보(47.2%)가 이재명 후보(33.4%)를, 인천·경기에서는 이재명 후보(46.6%)가 김문수 후보(36.0%)를 앞섰다. 이준석 후보는 서울 13.6%, 인천·경기 11.4%였다.

대구·경북(TK)에서 김문수 후보가 49.1%로 가장 높았고, 이재명 후보 31.6%, 이준석 후보 12.3%의 분포를 보였다.

부산·울산·경남(PK)에서는 이재명 후보 50.2%, 김문수 후보 37.0%, 이준석 후보 7.1%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이재명 후보가 30대(46.1%), 40대(62.2%), 50대(61.2%)에서 가장 높았고, 김문수 후보는 18~29세(36.1%)와 60대(47.7%), 70대 이상(54.2%)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얻었다. 이준석 후보는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18~29세(31.9%)에서 높은 지지율을 얻었다.

리얼미터는 "이재명 후보는 지난 조사 대비 수도권과 20대 진보층에서 주로 하락한 반면 김문수 후보는 부산·울산·경남과 30대, 자영업자에서 주로 하락했다"며 "이준석 후보는 수도권과 30대에서 주로 상승했다"고 했다.

[리얼미터 제공]

가상 양자 대결에선 이재명 후보 51.1%, 김문수 후보 43.9%의 지지율을 보였다.

이재명 후보는 민주당 지지층 98.3%, 진보층 85.0%의 지지를 받았고, 김문수 후보는 국민의힘 지지층 93.7%, 보수층 74.7%의 지지를 얻었다.

중도층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54.6%의 지지율로 김문수 후보(38.3%)를 앞섰다.

이재명 후보와 이준석 후보가 맞붙을 경우 이재명 48.9%, 이준석 37.0%로 조사됐다.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간 지지율은 격차는 7.2%p였고, 이재명 후보와 이준석 후보 간 지지율 차이는 11.9%였다. 두 경우 모두 이재명 후보가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현재 지지하는 후보를 선거 때까지 계속 지지할 의향이 있는지 물은 결과 '계속 지지할 것'이라는 응답은 88.7%를 기록했다.

'후보 지지 여부와 관계 없이 이번 대선에서 누가 당선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는 이재명 후보를 꼽은 응답자가 55.4%로 가장 많았고, 김문수 후보(34.6%), 이준석 후보(5.9%)가 뒤를 이었다.

차기 대선 집권 세력 선호도 조사에서는 '민주당 등 야권의 정권 교체'를 지지한 비율이 52.9%, '국민의힘 등 범여권의 정권 연장'을 원하는 비율은 40.8%로 조사됐다.

리얼미터는 "정권교체 여론이 절반 이상으로 여전히 우세하나 정권 연장 의견과의 격차는 12.1%p로 최근 들어 점차 줄어드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이 전주 대비 2.4%p 내린 43.5%, 국민의힘은 0.4%p 오른 37.8%, 개혁신당은 0.2%p 내린 7.7%를 각각 기록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격차는 5.7%p로 오차범위 안으로 좁혀졌다.

리얼미터는 "민주당의 정당 지지율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특히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과 20∼30대, 여성, 중도층에서 지지율이 상당 폭 떨어졌다"며 "이런 하락세는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 하락과 잇따른 발언 논란, 보수층의 결집과 TV 토론 등 선거 막판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100%)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8.3%.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리얼미터 제공]

chaew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