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최악 폭염' 오나…기상청 "올여름 평년보다 더울 듯"(종합)
연합뉴스
입력 2025-05-23 11:52:53 수정 2025-05-23 18:03:01
6월 기온 예년보다 높을 확률 40%·낮을 확률 20%…7∼8월은 더울 확률 50%
비는 '6월에 많고 7∼8월은 평년 수준' 전망…태풍은 적게 올 듯
기상청 "해수면 온도, 작년보다는 낮아…작년보단 더위 덜 심할 것"


물로 식혀보는 5월의 더위(대구=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대구 낮 최고기온이 33.4도까지 오른 20일 대구스타디움에서 열린 대구시 재난안전기동대 채용 체력 검정을 마친 한 응시자가 시원한 물로 세수하고 있다. 2025.5.20 psik@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기상청이 올여름은 예년보다 더울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을 내놨다.

기상청은 23일 발표한 6∼8월 3개월 전망에서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을, 비슷하거나 낮을 확률보다 더 높게 제시했다.

강수량은 6월엔 평년보다 많고 7∼8월엔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반도에 영향을 줄 태풍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 뜨거운 태평양과 인도양…돌고 돌아 우리나라에 '고기압'

초여름에 해당하는 6월의 기온은 평년(21.1∼21.7도)보다 높거나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 낮을 확률이 20%로 나타났다.

7월(평년기온 24.0∼25.2도)과 8월(24.6∼25.6도)은 기온이 평년기온을 웃돌 확률이 50%로 제시됐다. 비슷할 확률은 40%이고 낮을 확률은 10%에 불과했다.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와 미국 해양대기청(NOAA) 등 11개국 기상 당국 474개 기후예측모델 전망치를 평균 냈을 때도 올여름 기온이 평년기온보다 높을 확률이 큰 것으로 나왔다.

기후예측모델들의 앙상블 평균(여러 모델이 내놓은 전망치의 평균) 확률을 보면 6월은 평년보다 더울 확률이 58%, 7월은 64%, 8월은 71%였다.

열대 서태평양의 높은 해수면 온도와 우리나라 6∼8월 기온·강수량 영향.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상청은 올여름 더울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로 열대 서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상태인 점을 꼽았다.

해수면 온도가 높으면 해당 지역에서 대류 활동이 활발해진다.

대류는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오르고 찬 공기는 아래로 내려가는 현상'으로, 대류가 활발하다는 것은 '상승기류'가 발생한다는 뜻이다.

위로 올라간 공기는 차가워지면서 다시 내려오게 되는데 공기가 하강하며 쌓이는 지역에 고기압이 만들어진다.

열대 서태평양에서 높은 해수면 온도 탓에 대류가 활발해지면서 상승기류가 발생하면 동아시아에 하강기류가 나타나고, 우리나라 남동쪽에 고기압이 발달한다.

북반구에선 고기압 가장자리를 타고 시계방향으로 바람이 분다.

이에 우리나라 남동쪽에 고기압이 형성되면 우리나라로 고온다습한 남풍이 불게 되고 이는 무더위로 이어진다.

'사상 최악의 더위'가 나타났던 작년 여름, 6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에도 열대 서태평양에서 상승한 기류가 대만 부근 아열대 지역에 하강하면서 북태평양고기압이 예년보다 더 북서쪽으로 확장해 우리나라에 무더위가 나타났다.

다만 조경숙 기상청 기후예측과장은 "전 세계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지만 작년보다는 낮다"면서 "작년 더위에는 엘니뇨가 쇠퇴하고 있었던 점도 영향을 줬기에 작년과 비교하면 더위가 심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현재는 엘니뇨도, 라니냐도 발생하지 않은 '중립' 상태다.

월별로 보면 올해 6월이 더울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로 북인도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 수준보다 높은 점이 제시됐다.

북인도양 높은 해수면 온도와 우리나라 6∼8월 기온·강수량 영향.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뜨거운 북인도양에서 대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우리나라 남동쪽에 고기압이 발달할 것으로 보인다.

대기라는 유체를 통해 열 등 에너지가 전파되는 '대기 파동'에 의해 고기압 옆에 저기압, 저기압 옆에는 고기압이 형성되는데 이 과정을 거쳐 북인도양에 고기압이 발달하면 우리나라 남동쪽에 고기압이 만들어진다.

7월에는 남인도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을 수 있는 점이 더위를 예상하게 하는 주된 요인이다. 남인도양이 뜨거우면 북서태평양에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우리나라 주변엔 고기압이 형성된다.

유럽 눈 덮임과 우리나라 8월 기온·강수량 영향.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8월은 봄철 유럽 눈 덮임이 평년보다 적었던 점이 더위를 예상케 하는 점이다.

눈 덮임이 적으면 지면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열이 많아 해당 지역에서 고기압이 잘 발달한다. 유럽 눈덮임 면적이 작아 고기압이 발달하면 대기 파동에 의해 우리나라 쪽에 고기압이 형성되고 이는 더위로 이어진다.

기후변화도 고려해야 한다

1973년 이후 52년간 6월 월평균기온은 1.5도, 7월은 1.1도, 8월은 1.3도 상승했다.

물론 올여름 기온을 낮출 만한 요인도 존재한다.

지난 봄 중국 동북부 눈 덮임이 적었던 점은 이 지역에 고기압을 발달시켜 우리나라에 저기압을 부를 수 있다. 저기압 영향권에 놓이면 기온이 낮아진다.

티베트 지역 눈 덮임이 평년보다 많은 점도 고려할 요소다.

이는 한여름 '땡볕 더위'를 부르는 티베트고기압 강도를 약화할 수 있다.

'하루종일 비가'(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비가 내린 16일 서울 광화문사거리에서 시민들이 우산을 쓴 채 이동하고 있다. 2025.5.16 cityboy@yna.co.kr




◇ 6월에 비 많이 올 듯…태풍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전망

강수량은 6월은 평년보다 대체로 많고 7∼8월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측됐다.

6월은 강수량이 평년(101.6∼174.0㎜)보다 많을 확률과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 적을 확률이 20%로 나타났다.

7월(평년 강수량 245.9∼308.2㎜)과 8월(225.3∼346.7㎜)은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이고 평년보다 많거나 적을 확률이 각각 30%, 20%다.

올여름 비가 많이 온다면 북인도양과 열대 서태평양 수온이 높아 우리나라 남동쪽에 고기압이 발달, 고온다습한 남풍이 불어 들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됐다.

티베트 많은 눈덮임과 우리나라 7∼8월 기온·강수량 영향.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티베트 눈 덮임이 많아 티베트고기압이 약하게 발달, 우리나라 대기 상층에 기압골이 발달할 수 있는 점도 많은 비를 예상하게 하는 요인이다.

유럽 눈 덮임과 바렌츠-카라해 해빙 면적이 작아 우리나라 부근에 고기압이 발달할 수 있는 점은 강수량을 줄일 수 있는 요인으로 꼽혔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평년(2.5개)과 비슷하거나 적을 확률이 각각 40%, 많을 확률이 20%로 분석됐다.

현재 태풍이 주로 발생하는 바다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 태풍이 발생할 에너지는 충분하지만, 서태평양 고기압이 예년보다 더 세력을 확장해 태풍 주 발생지 공기를 누르면서 태풍 형성을 억제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평소 같으면 북서태평양에서 태풍이 2개 이상 발생했어야 하는 시기인데도 아직 첫 태풍이 나오지 않고 있다.

기상청은 올여름 태풍이 대만 부근 또는 일본 남동쪽 해상으로 이동할 가능성을 높게 보면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가 한반도 남쪽에 자리한 상황에선 태풍이 한반도로 북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jylee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