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원 의원 '한국형 유무인 항모 건조와 무인 해양전력 건설' 세미나 개최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해군이 경항공모함 대신 유·무인 전력을 운용하는 다목적 지휘함 도입을 추진 중인 가운데 세부 계획이 공개됐다.
군사전문기자 출신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실은 8일 국회에서 '한국형 유·무인 전력 탑재 항공모함 건조와 무인 해양전력 건설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유 의원은 해군으로부터 확인한 다목적 유·무인 전력 지휘함 확보 계획을 이날 공개했다.
유 의원에 따르면 해군은 '유·무인 복합운용체계'를 뜻하는 'MuM-T' 개념을 적용해 MuM-T 해양전투단(Battle Group) 또는 MuM-T 강습상륙단(Assault Group)의 구성을 추진할 방침이다.
새로 건조될 다목적 유·무인 전력지휘함을 비롯해 독도함과 마라도함 등 총 3척을 지휘함으로 두고 각 지휘함에 구축함·잠수함과 항공전력, 수상정, 잠수정 등을 붙여 해양 우세 달성을 위한 해양전투단을 만든다는 구상이다.
강습상륙단의 경우 각 지휘함과 구축함·잠수함에 무인기, 상륙기동헬기, 공격헬기, 고속상륙정, 상륙돌격장갑차 등을 함께 배치해 입체 고속 상륙작전을 수행하도록 한다는 개념이다.
다목적 유·무인 전력지휘함은 배수량 3만t급에 건조 비용 2조 원 중후반대로 예상되며, 설계 및 건조에 약 11년이 소요돼 2030년대 후반 확보가 목표다.
해군의 이러한 유·무인 전력 운용을 위한 병력은 레이더 기지 무인화와 경계병력 민간 전환 등을 통해 확보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유 의원은 유·무인 복합운용체계를 두고 "미래 해군력 혁신의 핵심 축이자 새로운 전략적 대안"이라며 "다수의 무인기를 운용하는 항공모함은 비용 효율성은 물론 미래 전장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플랫폼으로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j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