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와 유관기관 전문가 등 11명 참여

(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 = 제주 해상에서 폐어구에 걸린 남방큰돌고래 '행운이'를 구조하기 위해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댄다.
제주도는 8일 도청 백록홀에서 남방큰돌고래 행운이 구조와 보호를 위한 전문가 전담팀(TF)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최근 제주시 구좌읍 해상에서 폐어구가 얽힌 채 발견된 행운이 상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구조와 치료, 보호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운이는 몸 길이 약 2m 크기의 중형 돌고래로, 6∼7살 정도 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 동부와 서부 해역을 넘나들며 광범위하게 활동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2024년 이후 총 네 차례 폐그물에 걸린 모습이 관찰되는 등 폐어구에 의한 위협이 반복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도는 정무부지사를 단장으로 행정, 해양생태, 수의, 어구·어법 분야 전문가 등 총 11명으로 전담팀을 구성했다. 제주도,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연구원, 제주대학교 등 관련 기관들이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기존 '종달이' 사례를 바탕으로 선박 접근, 특수 장비 활용 포획, 치료 후 방류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논의한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해양경찰청 협조 체계와 민간 구조 전문가 참여 방안도 검토한다.
도는 관계 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구조부터 치료, 방류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해양폐기물 수거 계획도 강화할 방침이다.
김애숙 도 정무부지사는 "남방큰돌고래는 해양보호생물로, 제주 해양생태계 보전의 핵심종"이라며 "행운이가 다시 건강하게 제주 바다를 누빌 수 있도록 모든 행정적·기술적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찬가지로 낚싯줄에 얽혔던 남방큰돌고래 '종달이'의 경우 해양수산부 주관 3차례의 구조기술위원회 회의와 약 10개월에 걸친 구조 활동 끝에 지난해 8월 17일 낚싯줄을 일부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종달이는 올해 5월 다시 낚싯줄에 감긴 채 발견됐고, 이후 생사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atoz@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