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자료 내고 시장에 구애 신호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기업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 중인 홈플러스가 인수자 찾기에 난항을 겪자 "전세를 낀 아파트처럼 투입자금 1조원 미만으로 회사를 인수할 수 있다"며 적극적인 구애에 나섰다.
홈플러스는 8일 보도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수자는 기존 지분 인수 부담 없이 신규 자금 투입을 통해 곧바로 지배권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홈플러스를 조사보고서상 청산가치인 3조7천억원 수준으로 평가해 인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홈플러스가 보유한 4조8천억원 규모의 부동산 자산을 활용해 일반적인 담보인정비율(LTV)을 적용하면 약 2조원 내외의 자금 차입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인수자가 부동산 담보 차입으로 2조원을 조달하고 나머지 부족분을 현금으로 보완하면 실제 투입 자금은 1조원 이하로 축소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는 현재 총자산은 6조8천500억원이고 부채는 2조9천억원이라며 "브랜드, 사업 지속 가능성, 보유 부동산 등 홈플러스 기업가치는 7조원으로 평가되고 전체 부채 중에서 즉시 상환이 요구되는 채권은 2조5천억∼2조7천억원 수준"이라고 전했다.
홈플러스는 "인수는 전세 낀 아파트에 비유할 수 있다"면서 "7조원(평가 기업가치)짜리 아파트에 2조9천억원의 전세(부채)가 들어가 있고, 전 주인(대주주 MBK)은 자신의 지분을 포기하기로 했다"며 "새 매수자는 아파트 부동산을 담보로 2조원을 빌려 전세 일부를 갚고 남은 일부를 현금으로 메운다면 실제 현금 1조원 미만으로 아파트를 소유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했다.
홈플러스는 시장에서 "홈플러스 매각가는 청산가치인 3조7천억원 이상이어야 한다"는 소문이 돌아 인수 의향자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판단해 '전세 낀 아파트'에 비유하면서 인수 후보자 찾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 매각 주간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이달에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해 이르면 다음 달 본입찰을 거쳐 오는 9월 말 최종 인수 예정자를 확정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아직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아 홈플러스 매각이 마무리되려면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noano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