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연합뉴스) 한무선 기자 = 대구시는 '고독사 위험군 실태조사'를 한 결과 주거 취약층, 복지대상자 등에서 고독사 위험군 비율이 높게 나왔다고 2일 밝혔다.
시가 지난해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간 대구지역 1인 가구 7만8천33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고독사 위험군 비율은 7.6%를 보인 가운데 남성 위험군 비율(9.3%)이 여성(5.5%)보다 약 1.7배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노년층(65세 이상) 위험군 비율이 9.6%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장년층(50∼64세) 8.2%, 중년층(40∼49세) 7.2% 순이었다.
거주 유형별로는 쪽방·여관(24.5%), 고시원(22.1%) 등 주거 취약지에 사는 이들의 위험군 비율이 두드러졌다.
가족관계 요인을 보면 이혼(14.1%), 사별(10.8%) 등 가족관계 단절을 겪은 응답자에서 상대적으로 위험군 비율이 높았다.
근로 여부에 따라서는 무직자의 고독사 위험군 비율이 17.6%로 높게 나온 가운데 질병으로 인한 무직의 경우 위험군 비율이 22.6%였다.
특히 기초생활수급자 등 복지수급자의 위험군 비율(31.7%)은 비수급자(5.5%)의 약 6배에 달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쪽방, 고시원 등 주거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집중 조사체계를 강화하겠다"며 "복지 대상자일수록 외부와 단절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복지 수급정보와 연계해 시스템을 정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ms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