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방적 관세 부과에 깊은 우려" 공동성명 발표 예정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동남아시아 10개국이 참가하는 제46회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가 26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막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공동 대응과 경제 협력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AFP통신과 스트레이츠타임스 등에 따르면 참가국들은 미국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공동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성명 초안은 "관세 조치가 아세안에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도전을 유발했다"며 "일방적인 관세 부과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는 미국 관세에 아세안 차원에서 대응해야 한다며 회원국 '단일대오'를 촉구해왔다.
그는 관세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미국·아세안 정상회담 개최를 추진해왔으며, 이를 위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냈다고 이날 밝혔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아세안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심각한 타격을 입을 지역으로 꼽힌다.
미국은 90일 유예에 앞서 아세안 각국에 초고율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회원국 중 캄보디아가 49%로 상호관세율이 가장 높고, 라오스(48%), 베트남(46%), 미얀마(44%), 태국(36%), 인도네시아(32%)가 뒤를 이었다.
이번 회의에서는 미얀마 사태도 비중 있게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상회의에 앞서 24일 아세안 외교장관회의를 주재한 모하마드 하산 말레이시아 외교부 장관은 "미얀마의 여러 이해당사자와 접촉해 그들의 요구를 파악했다"며 "이를 미얀마 군사정권에 전달하고 응답을 기다릴 것"이라고 취재진에게 말했다.
미얀마 군부는 2021년 쿠데타를 일으켜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 등 정부 인사들을 대거 체포했으며 반대 세력을 폭력으로 진압했다.
같은 해 4월 아세안은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참석한 특별정상회의에서 폭력 즉각 중단 등 5개 항에 합의했다.
그러나 미얀마는 이를 지키지 않았고, 아세안은 그동안 각종 회의에서 미얀마 군부를 배제해왔다.
이밖에 이번 회의에서는 지역 전력망 연결,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동티모르 아세안 가입 등도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27일에는 아세안 외에 중국과 걸프협력회의(GCC)가 참가하는 회의로 확대된다.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다자주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성명을 낼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에서는 리창 국무원 총리가 참석할 예정이다. GCC는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으로 구성됐다.
doub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