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생산 19개월만 최대 폭 증가…서비스업 생산은 0.3% ↓
소매판매, 도소매업 중심 0.3% 줄어…전년 동월비로는 1.5% 증가
설비투자·건설수주 '마이너스'…"생산 호조세·대내외 불확실성"
소매판매, 도소매업 중심 0.3% 줄어…전년 동월비로는 1.5% 증가
설비투자·건설수주 '마이너스'…"생산 호조세·대내외 불확실성"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박재현 기자 = 반도체 생산이 19개월 만에 최대 폭 증가하면서 3월 전산업생산이 2개월 연속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건설업은 회복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감소 전환했다. 서비스업 생산이 감소하고, 소매 판매와 투자가 줄어드는 등 내수 부진은 계속됐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3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전산업생산 지수는 114.7(2020년=100)로 전달보다 0.9%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은 지난 1월 1.6% 감소했으나 2월 1.0% 증가한 데 이어 이달까지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광공업 생산은 제조업(3.2%)을 중심으로 생산이 늘어 전달보다 2.9% 증가했다.
특히 D램과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 생산이 13.3% 늘었다. 2023년 8월(13.6%) 이후 19개월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의약품(11.8%)과 전자부품(7.8%) 생산도 증가했다. 기계장비(-3.1%), 석유정제(-9.3%) 등 업종은 생산이 줄었다.
건설업 생산은 토목과 건축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전월보다 2.7% 감소했다. 지난 2월 2.4% 늘면서 7개월 만에 증가했지만 흐름을 이어가지는 못했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전달보다 0.3% 감소했다.
도소매업 생산이 3월 3.5% 줄면서 감소 전환했고 금융·보험(-2.1%), 정보 통신(-2.1%) 등 업종도 생산이 줄었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 판매 지수도 0.3% 감소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8%), 의복 등 준내구재(2.7%)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8.6%)에서 줄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소매판매액 지수는 1.5% 증가했다. 2023년 6월(1.5%) 이후 21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소매 판매 기준으로 보면 그동안의 감소 추세는 일단 진정된 것으로 보인다"며 "1분기 전기자동차 보조금 집행과 휴대전화 신제품 출시 등의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일시적인 정책 효과 때문인지, 근본적인 개선이 이뤄진 것인지는 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0.9% 감소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3.4%) 등은 투자가 늘었으나, 농업·건설·금속기계 등 기계류(-2.6%)에서 투자가 줄었다.
건설 수주 또한 기계설치 등 토목을 중심으로 줄면서 전년 동월보다 8.7% 감소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2월 0.1p 상승한 데 이어 2개월 연속 오름세가 이어졌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2p 상승하면서 두 달 연속 올랐다.
이두원 심의관은 "2월 상승에 따른 기저효과로 소매 판매와 설비투자 등이 다소 주춤한 흐름을 보였다"며 "반도체를 중심으로 생산 호조세가 나타났지만, 대내외 불확실성 등은 고려해야 한다"라고 진단했다.
미국 정부의 관세 조치 영향과 관련해서는 "현재 지수에서는 관세 영향이 나타나지는 않았다"면서도 "향후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traum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