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사업 대상지 8곳 선정…근거리에서 업무·여가·돌봄 등 해결
9월까지 조성계획기준 마련…"100개 이상 자족형 생활권 조성"
9월까지 조성계획기준 마련…"100개 이상 자족형 생활권 조성"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서울시가 시민이 도보 30분 거리 안에서 일상의 모든 기능을 누릴 수 있는 '서울형 보행일상권' 조성을 위한 시범사업에 착수한다고 22일 밝혔다.
보행일상권은 2022년 3월 서울시가 발표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처음 제시된 개념이다. 멀리 이동하지 않고도 주거지 인근에서 업무와 생활편의, 여가, 돌봄, 학습, 공공서비스 등 다양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자족적 생활권을 의미한다.
팬데믹과 디지털 대전환 등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라 주거지가 일상생활의 중심 역할을 하면서 달라진 생활양식을 반영한 도시공간 개념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시범사업을 위해 시는 8개 생활권을 대상지로 선정했다.
▲ 평창·부암(종로구) ▲ 금호·옥수(성동구) ▲ 청량리(동대문구) ▲ 신길(영등포구) ▲ 정릉(성북구) ▲ 수유(강북구) ▲ 홍제(서대문구) ▲ 양재(서초구) 등 8곳이다.

대상지는 지역적 특성과 권역별 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범사업은 보행일상권 실현을 위한 계획 마련에 초점을 두고 진행된다.
역세권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한 보행일상권 조성 계획, 보행일상권 내 필수시설 확충 계획,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활 가로(街路)의 네트워크 구축 방안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9월까지 '보행일상권 조성계획 기준'을 마련하고, 향후 서울 전역으로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시범사업을 통해 대상지별 필수시설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시설 확충 방안도 함께 마련하기로 했다.
공공시설의 경우 기부채납이나 공공기금 등을 활용하고, 민간시설은 지구단위계획 내 권장 용도로 유도하는 방안 등도 제시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형 보행일상권' 모델을 정립하고, 도시관리계획 및 정비사업 등 개발사업의 계획 수립 시 생활서비스 시설 확충 근거로 활용할 방침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서울형 보행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순차적으로 조성해 시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kih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