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배 수출 '뚝'…바나나·파인애플·오렌지 수입 '쑥'
연합뉴스
입력 2024-04-01 06:01:01 수정 2024-04-01 06:01:01
작년 사과 수출량 2000년 통계 작성 이후 최소…올해 더 큰 폭 감소
바나나·파인애플·오렌지 수입 증가…수요 분산 위해 수입 과일 품목 확대


내려가는 사과 가격?(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농축산물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의 대규모 자금 투입 이후 사과, 배 등의 소매 가격이 10% 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24일 서울 경동시장에서 사과가 진열되어 있다. 이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22일 기준으로 사과(후지·상품) 10개 소매가격은 2만4천250원으로 일주일 전인 15일보다 11.6% 내렸다. 2024.3.24 ondol@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올해 들어 국산 과일값 강세에 사과와 배 수출은 급감하고 바나나와 파인애플, 오렌지 수입은 대폭 늘었다.

정부는 사과와 배 수요 분산을 위해 수입 과일 품목을 늘리기로 했다.

농식품부, aT직수입 오렌지·바나나 공급(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21일 농림축산식품부는 가격이 폭등한 과일 수요를 대체하기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를 통해 직수입한 오렌지, 바나나 등 수입 과일을 이날부터 대형마트에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달 중 바나나 1천400여t(톤), 오렌지 600여t 등 수입 과일 2천t 이상을 시장에 공급한다. 사진은 이날 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바나나. 2024.3.21 scape@yna.co.kr

◇ 사과 수출 75.2% 감소…바나나 수입 42.6% 증가

1일 관세청 무역통계와 통계청,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올해 1∼2월 사과 수출량은 58t(톤)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75.2% 줄었다.

특히 지난 2월 수출량은 4t에 그쳐 지난해 동월보다 97.1%나 감소했다.

지난해 사과 수출량은 전년보다 62.3% 줄어든 638t으로 관련 통계가 있는 2000년 이후 처음으로 1천t을 밑돌며 역대 최소를 기록했는데 올해 더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지난 1∼2월 배 수출량도 1천372t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2.5% 줄었다.

배 수출량은 1월 1천78t에서 2월 294t으로 줄었다. 2월 수출량은 지난해 동월보다 86.7% 감소했다. 지난해 배 수출량은 2만4천430t으로 전년보다 7.0% 줄었다.

농식품부, aT직수입 오렌지·바나나 공급(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21일 농림축산식품부는 가격이 폭등한 과일 수요를 대체하기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를 통해 직수입한 오렌지, 바나나 등 수입 과일을 이날부터 대형마트에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달 중 바나나 1천400여t(톤), 오렌지 600여t 등 수입 과일 2천t 이상을 시장에 공급한다. 사진은 이날 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오렌지. 2024.3.21 scape@yna.co.kr

[표] 연도별 사과·배 수출 추이 (단위: t, 천달러)

┌────────────┬────────────────────────────┬──────────────────────────────┐ │ 연도 │ 사과 │ 배 │ │ ├────────────┬──────────────┼──────────────┬──────────────┤ │ │ 수출중량 │ 수출금액 │ 수출중량 │ 수출금액 │ ├────────────┼────────────┼──────────────┼──────────────┼──────────────┤ │ 2012 │ 1,694 │ 5,535 │ 15,677 │ 49,815 │ ├────────────┼────────────┼──────────────┼──────────────┼──────────────┤ │ 2013 │ 2,788 │ 6,980 │ 20,120 │ 54,869 │ ├────────────┼────────────┼──────────────┼──────────────┼──────────────┤ │ 2014 │ 2,217 │ 5,430 │ 23,096 │ 62,159 │ ├────────────┼────────────┼──────────────┼──────────────┼──────────────┤ │ 2015 │ 3,503 │ 8,181 │ 22,493 │ 57,713 │ ├────────────┼────────────┼──────────────┼──────────────┼──────────────┤ │ 2016 │ 3,947 │ 8,748 │ 25,607 │ 65,356 │ ├────────────┼────────────┼──────────────┼──────────────┼──────────────┤ │ 2017 │ 2,843 │ 7,014 │ 27,157 │ 66,159 │ ├────────────┼────────────┼──────────────┼──────────────┼──────────────┤ │ 2018 │ 2,639 │ 6,965 │ 32,925 │ 79,999 │ ├────────────┼────────────┼──────────────┼──────────────┼──────────────┤ │ 2019 │ 2,644 │ 6,364 │ 30,710 │ 83,224 │ ├────────────┼────────────┼──────────────┼──────────────┼──────────────┤ │ 2020 │ 1,737 │ 5,049 │ 23,556 │ 71,652 │ ├────────────┼────────────┼──────────────┼──────────────┼──────────────┤ │ 2021 │ 1,264 │ 3,698 │ 21,841 │ 71,707 │ ├────────────┼────────────┼──────────────┼──────────────┼──────────────┤ │ 2022 │ 1,690 │ 4,782 │ 26,274 │ 74,359 │ ├────────────┼────────────┼──────────────┼──────────────┼──────────────┤ │ 2023 │ 638 │ 1,996 │ 24,430 │ 74,508 │ ├────────────┼────────────┼──────────────┼──────────────┼──────────────┤ │2023(1∼2월)│ 233 │ 596 │ 3,656 │ 9,640 │ ├────────────┼────────────┼──────────────┼──────────────┼──────────────┤ │2024(1∼2월)│ 58 │ 273 │ 1,372 │ 4,897 │ └────────────┴────────────┴──────────────┴──────────────┴──────────────┘


(자료=관세청 무역통계)

사과 가격 살펴보는 최상목 부총리(성남=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25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하나로마트 성남점에서 물가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2024.3.25 xanadu@yna.co.kr

사과와 배 수출 감소는 이상 기후로 생산량이 대폭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사과와 배 생산량은 39만4천t과 18만4천t으로 전년보다 30.3%, 26.8% 각각 줄었다.

사과 생산량은 2011년(38만t) 이후 12년 만의 가장 적다. 지난해 감소율은 관련 통계가 있는 1980년 이후 역대 최대였다.

지난해 배 생산량은 2020년(13만3천t) 이후 3년 만에 가장 적었다.



[표] 연도별 사과·배 생산량 추이 (단위: t)

┌────────────────────────┬────────────────────────┬──────────────────────┐ │ 연도 │ 사과 │ 배 │ ├────────────────────────┼────────────────────────┼──────────────────────┤ │ 2009 │ 494,491 │ 418,368 │ ├────────────────────────┼────────────────────────┼──────────────────────┤ │ 2010 │ 460,285 │ 307,820 │ ├────────────────────────┼────────────────────────┼──────────────────────┤ │ 2011 │ 379,541 │ 290,494 │ ├────────────────────────┼────────────────────────┼──────────────────────┤ │ 2012 │ 394,596 │ 172,599 │ ├────────────────────────┼────────────────────────┼──────────────────────┤ │ 2013 │ 493,701 │ 282,212 │ ├────────────────────────┼────────────────────────┼──────────────────────┤ │ 2014 │ 474,712 │ 302,731 │ ├────────────────────────┼────────────────────────┼──────────────────────┤ │ 2015 │ 582,845 │ 260,975 │ ├────────────────────────┼────────────────────────┼──────────────────────┤ │ 2016 │ 576,369 │ 238,014 │ ├────────────────────────┼────────────────────────┼──────────────────────┤ │ 2017 │ 545,349 │ 265,757 │ ├────────────────────────┼────────────────────────┼──────────────────────┤ │ 2018 │ 475,303 │ 203,166 │ ├────────────────────────┼────────────────────────┼──────────────────────┤ │ 2019 │ 535,324 │ 200,732 │ ├────────────────────────┼────────────────────────┼──────────────────────┤ │ 2020 │ 422,115 │ 132,580 │ ├────────────────────────┼────────────────────────┼──────────────────────┤ │ 2021 │ 515,931 │ 210,293 │ ├────────────────────────┼────────────────────────┼──────────────────────┤ │ 2022 │ 566,041 │ 251,093 │ ├────────────────────────┼────────────────────────┼──────────────────────┤ │ 2023 │ 394,428 │ 183,802 │ └────────────────────────┴────────────────────────┴──────────────────────┘


(자료=통계청)

배 소매가격 일시적 하락세(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사과와 배 소매가격이 정부의 대규모 할인 지원과 유통업계 행사 등으로 일시적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1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전날 배(신고·상품) 10개 소매가격은 4만1천551원으로 전 거래일(4만5천381원)보다 8.4% 내렸다. 사과(후지·상품) 10개 소매가격도 전날 2만4천148원으로 전 거래일(2만7천424원)보다 11.9%나 하락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배. 2024.3.19 jin90@yna.co.kr

이에 반해 수입 과일 대명사인 바나나와 파인애플, 오렌지 등의 수입은 대폭 늘었다.

지난 1∼2월 바나나 수입량은 6만2천502t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42.6% 늘었고 파인애플은 1만2천610t으로 31.5% 증가했다. 오렌지는 9천964t으로 129.6% 급증했다.


정부는 사과와 배를 대체하기 위해 바나나와 오렌지 등의 과일을 3∼4월에 집중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직수입 품목도 바나나, 오렌지, 파인애플, 망고, 체리 등 5종에서 자몽, 아보카도, 만다린, 두리안, 키위, 망고스틴까지 포함한 11개로 늘리기로 했다.



[표] 바나나·파이애플·오렌지 수입 추이 (단위: t, 천달러)

┌──────────────┬──────────────────┬──────────────────┬──────────────────┐ │ 연도 │ 바나나 │ 파인애플 │ 오렌지 │ │ ├────────┬────────┼────────┬────────┼────────┬────────┤ │ │수입중량│수입금액│수입중량│수입금액│수입중량│수입금액│ ├──────────────┼────────┼────────┼────────┼────────┼────────┼────────┤ │ 2023(1∼2월) │ 43,840 │ 40,181 │ 9,592 │ 8,884 │ 4,339 │ 8,837 │ ├──────────────┼────────┼────────┼────────┼────────┼────────┼────────┤ │ 2024(1∼2월) │ 62,502 │ 61,506 │ 12,610 │ 13,052 │ 9,964 │ 21,034 │ └──────────────┴────────┴────────┴────────┴────────┴────────┴────────┘


(자료=관세청 무역통계)


◇ 사과 소매가격 9.9% 하락…도매가격은 작년보다 118.2% 높아

사과와 배 소매가격은 정부 농축산물 할인 지원 이후 하락세를 보였다.

사과(후지·상품) 10개 소매가격은 지난달 29일 기준 2만4천707원으로 정부의 추가 긴급 지원 직전인 15일보다 9.9% 내렸다.


정부는 농축산물 물가 안정을 위해 납품단가 지원(755억원)과 할인 지원(450억원) 등에 1천500억원의 긴급 가격안정 자금을 지난달 18일부터 추가 투입하기 시작했다.

배(신고·상품) 10개 소매가격도 같은 기간 4만5천381원에서 4만1천170원으로 9.3% 내렸다.

다만, 사과(후지·상품) 10kg 중도매가격은 지난달 29일 기준 9만2천40원으로 15일보다 1.3% 올랐고 배(신고·상품) 15kg의 중도매가격은 11만3천200원으로 11.9% 상승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사과와 배 소매가격은 각각 8.0%, 53.1% 높은 수준이며 도매가격은 118.2%, 164.4% 각각 높은 상태다.


소매가격은 대형마트·전통시장 등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이며 중도매가격은 중도매인이 소매상과 소비자 등에게 판매하는 가격이다.

사과와 배 가격은 이르면 7∼8월 햇과일이 출하되면 하향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유통업계는 보고 있다.


[표] 사과·배 소매가격·중도매가격 추이 (단위: 원)

┌────────┬────────────────────────────────────────────┬──────────────────┐ │ 시기 │ 소매가격 │ 중도매가격 │ │ ├──────────┬──────────┬──────────┬────────┼────────┬────────┤ │ │ 사과 │ 배 │ 바나나 │파인애플│ 사과 │ 배 │ │ │(후지·상 │(신고·상 │(수입·상 │(수입· │(후지· │(신고· │ │ │품·10개) │품·10개) │품·100g) │상품·1 │상품·10│상품·15│ │ │ │ │ │ 개) │ kg) │ kg) │ ├────────┼──────────┼──────────┼──────────┼────────┼────────┼────────┤ │3월 29일│ 24,707 │ 41,170 │ 284 │ 7,418 │ 92,040 │113,200 │ ├────────┼──────────┼──────────┼──────────┼────────┼────────┼────────┤ │3월 22일│ 24,250 │ 39,312 │ 297 │ 6,901 │ 91,780 │108,600 │ ├────────┼──────────┼──────────┼──────────┼────────┼────────┼────────┤ │3월 15일│ 27,424 │ 45,381 │ 314 │ 7,270 │ 90,900 │101,200 │ ├────────┼──────────┼──────────┼──────────┼────────┼────────┼────────┤ │1개월 전│ 29,464 │ 42,640 │ 335 │ 7,815 │ 89,680 │ 93,380 │ ├────────┼──────────┼──────────┼──────────┼────────┼────────┼────────┤ │ 1년 전 │ 22,875 │ 26,893 │ 332 │ 7,337 │ 42,172 │ 42,820 │ ├────────┼──────────┼──────────┼──────────┼────────┼────────┼────────┤ │ 평년 │ 23,482 │ 36,861 │ 303 │ 6,609 │ 40,942 │ 51,285 │ └────────┴──────────┴──────────┴──────────┴────────┴────────┴────────┘


(자료=농산물유통정보)

kak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