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전문가 "중일, 관계단절 의사 안보여…제한된 타협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중국이 '대만 유사시' 일본의 무력 개입 가능성을 언급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를 겨냥해 연일 공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중국 전문가들은 양국이 여전히 관계를 이어 나갈 뜻이 있으며 이번 갈등 국면도 점차 잦아들며 '제한적 타협'으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을 내놨다.
24일 대만 중앙통신사(CNA)에 따르면 자오추 상하이 국방전략연구소 부소장은 다카이치 총리 발언과 관련해 중국이 일본에 강도 높게 항의하고 있지만 주로 언사에 그치고 실제로 강력한 행동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자오 부소장은 "이는 중국이 중일 간에 정치적 기반이 손상됐다고 보면서도 여전히 일본과 실질적인 기반을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대규모·전면적 보복은 아님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그는 동중국해 가스전 분쟁,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영유권 분쟁 등 과거 중일 갈등 사례에서도 어느 한쪽이 완전히 굴복한 적이 없고 각각의 쟁점 의제 모두 '퇴조기'가 있었다면서 "현재 중일은 '싸우되 찢어지지 않는' 국면에 있으며 쌍방관계를 단절하려는 의사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베이징에서 활동하는 중일 관계 학자도 익명을 전제로 "중국이 당분간 발언은 계속 강경하게 하겠지만 사태 수습은 어렵지 않다"며 "점차 희석되거나 외교협상을 통해 얼마간의 원칙적 합의를 도출한 뒤 각자 이해에 맞게 해석하면서 '양측 모두 양보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자국민에게는 상대가 물러섰다고 설명'하는 방식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천양 랴오닝대 일본연구센터 객원연구원도 중국 신경보 대담에서 향후 중일 관계 방향성에 대해 "제한적인 타협 아래 저신뢰 상태에서 공존하는 것이 단기적으로 가장 가능성이 큰 국면"이라며 "일본은 약간의 완화적 태도를 보이지만 핵심적 오류 수정에는 이르지 않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천 연구원은 "이 경우 중일 관계는 '정치적으로 냉각되고 경제도 냉랭한' 교착상태에 빠질 것"이라며 "양국 간 기본적 무역이 완전히 끊기지는 않겠지만 기업들은 정책 불확실성으로 더 신중해지고 일부 기업은 중국 내 투자 계획을 재평가할 것이며, 반도체·신에너지 등 분야 신규협력이 크게 축소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갈등이 잦아들더라도 이해관계 상충, 낮은 상호 신뢰 등 향후 중일 관계에 불리한 요소가 있어 비슷한 충돌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자오 부소장은 "일본은 전 세계적 영향력을 가진 주요 강대국으로 '정상국가'를 지향하고 있다. 중국은 강국노선에 따라 '초강대국'으로 나아가고 있어 양국 사이에 구조적 모순이 있다"고 지적했다.
천 연구원도 "양국의 소통은 실무적 수준에 그칠 수 있으며 실질적인 협력을 진행하기 어렵고 정치적 상호신뢰도 계속 낮은 수준에 머물 것"이라고 전망했다.
inishmor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