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삼의계곡·영덕 따개비마을 다시 가보니…주민 "올해는 관광객 더 간절해"
안내표지판·안전요원만 관광명소임을 알려…"복구하며 대책 고민할 것"
안내표지판·안전요원만 관광명소임을 알려…"복구하며 대책 고민할 것"

(영양·영덕=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올해 여름은 더 간절한 마음입니다. 비록 산불 피해는 봤지만 피서객들이 많이 와서 주민들에게 힘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연합뉴스는 본격적인 피서철을 앞두고 지난 3월 초대형 산불 피해가 난 경북 영덕, 영양 등 여름 피서 명소를 다시 찾아 현재 상황을 살펴 봤다.
지난 7일 정오께 경북 영양군 삼의계곡.
이곳은 맑은 물과 더불어 소나무 그늘이 드리워져 대표적인 여름 캠핑 명소로 꼽히던 곳이다.
예년 이맘때 쯤이면 북적거리기 시작했을 이곳은 조용한 모습이었다.
계곡 초입부터 산불에 녹아내려 방치된 주택과 그을린 나무들이 먼저 눈에 들어왔다.

삼의계곡을 관통하는 917번 도로를 타고 올라가자 지난 산불의 흔적이 더욱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이 도로는 지난 3월 25일 산불에 대피하던 3명이 숨진 곳이다.
인명을 앗아간 '불바람'이 몰아친 계곡은 황량해 보이기까지 했다.
인근 산은 타버린 나무들을 벌목한 채 누런 속살을 드러냈고, 계곡을 감싼 나무는 죽어 있었다.
계곡을 조금 더 올라가자 야영지가 나타났다.
피서객 없이 조용한 이곳이 피서 명소임을 알리는 것은 빨간색 '물놀이 관리지역' 표지판과 홀로 물놀이 명소를 지키는 안전 요원뿐이었다.
여름철 물놀이 안전 요원으로 일하고 있는 인근 마을 주민은 "주말인 어제 두세팀이 다녀갔다"며 "여름철만 되면 캠핑하는 사람과 물놀이하러 오는 사람으로 북적였지만, 나무가 다 타버려 그늘이 없으니까 사람들이 예전만큼은 안 오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의 말처럼 야영지에는 벌목한 나무가 차곡차곡 쌓여 있었다.
그 주위로도 검게 그을린 나무들이 즐비했다.
피서객이 많이 찾아 세워졌을 화장실은 검게 탄 나무에 쌓여 출입 통제선이 설치돼 있었다.
곳곳에는 낙석 위험을 알리는 현수막이 나부꼈다.
삼의계곡에서 농장을 운영하는 배 모(69) 씨는 "예전에는 이곳에 소나무가 많아 여름에 굉장히 시원했는데 이제는 밑에 동네와 별다를 게 없이 덥다"며 "태풍 매미, 루사 때는 계곡의 큰 바위들이 다 떠내려가며 볼품이 없어졌는데, 이번 산불로 소나무마저 다 타버렸으니 다 끝난 거나 마찬가지"라고 씁쓸해했다.
그의 말처럼 후덥지근한 바람이 불어오는 계곡은 어느 휴일의 벌목장을 연상케 했다.

삼의계곡은 산불 피해 이후에도 물놀이 명소로 드문드문 피서객이 찾아오지만, 아예 피서객의 출입이 끊긴 곳이 있다.
영양 삼의계곡으로부터 직선거리 약 22km, 차량으로 50여분 떨어진 영덕 석리다.
석리 따개비마을은 한국의 산토리니로 불릴 정도로 아름다운 풍광과 물빛을 가진 스노클 명소다.
이곳 주민들은 관광객들을 위해 작은 항구 한편에 낮은 제방을 쌓아 물놀이를 할 수 있는 공간도 만들어 뒀다.
하지만 이곳으로 들어가는 길목은 굳게 닫혀 있었다.
지난 3월 바람을 타고 '초고속'으로 번진 산불이 바닷가 마을을 통째로 태워버렸기 때문이다.
석리 입구 바리케이드 옆에는 '초대형 산불 피해로 인해 출입을 금지합니다'라고 적힌 현수막이 게시됐다.

차량 출입이 막힌 이곳으로 가는 방법은 가파른 마을 길을 따라 내려가는 것밖에 없다.
산불에 누런 흙을 드러낸 비탈길과 검게 그을린 채 남겨진 마을 길은 통제되진 않았지만, 위험했다.
길을 따라 내려간 곳의 바다는 싱그러운 물빛을 자랑했지만, 피서객의 텐트가 점령했을 해안가엔 산비탈에서 굴러떨어진 돌덩이들이 여기저기 있었다.
석리 주민 김 모(68) 씨는 "원래는 피서객들로 박작박작 시끄러워야 할 시기인데, 조용하기만 하다"며 "해수욕장이 개장하면 좀 나아질지 모르겠지만, 아직도 퀴퀴한 냄새가 나기도 하고 도보 길도 위험해서 걱정"이라고 염려했다.

조용한 석리 마을을 뒤로 하고 찾은 인근 해수욕장에는 3~4팀 정도 되는 피서객들이 해수욕을 즐기고 있었다.
해변 주변으로 검게 그을린 나무와 임시조립주택이 곳곳에 설치돼 있어, 이곳도 산불 피해 지역임을 알아차리게 했다.
오보 해수욕장 관리하는 김순용(68)씨는 "산불이 발생해 장마철 피해가 있을까 걱정했는데, 비가 안 와서 다행"이라며 "군에서 빨리 수습을 해줘서 다음 주에는 본격적으로 해수욕장 개장 준비에 나설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수욕장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매년 여름이 기대되지만, 올해 여름은 특히 절실한 것이 있다"며 "관광객분들이 많이 오셨으면 좋겠고, 저희도 손님들에게 더욱 신경 쓰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에서 대탄해변으로 피서를 온 김영훈(46)씨는 "산불 피해를 본 경북을 도와주자 해서, 애들 시험 끝나자마자 영덕으로 휴가를 왔다"며 "오는 길에 산불 흔적이 많이 보여서 마음이 아팠고, 관광객들이 많이 와서 산불 피해 주민분들이 좀 더 힘내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영양군은 피서객 유치를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스탬프 투어' 지역에 삼의계곡 등 피서지를 스탬프 투어 지역으로 추가 지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영덕군은 산불 피해가 큰 석리와 노물리 등 마을 복구를 진행하며 관광 인프라를 개발하는 등의 구상도 하고 있다.
영덕군 관계자는 "석리는 영덕에서 가장 아름다웠던 마을이었다"며 "산불 피해가 워낙 커서 올해 당장 어떻게 해 볼 수 없는 곳"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관광지로 새롭게 탈바꿈할 여지가 충분한 만큼, 이번 산불 복구를 계기 삼아 내부적으로 많이 고민해보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경북 도내 산불 피해 시·군도 관광객 유치를 위해 기차여행 상품이나 여행과 기부를 결합한 상품을 운용한다.

psi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