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쉐 "엔트리 모델에 LFP 배터리 도입 고민할 수도"
연합뉴스
입력 2025-05-27 16:00:00 수정 2025-05-27 16:00:00
"LFP 기술 발전 매력적…아직 고출력 퍼포먼스에는 부적합"


신형 타이칸 공개한 포르쉐(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22일 오전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포르쉐코리아 신형 타이칸이 공개되고 있다. 2024.8.22 dwise@yna.co.kr

(바이자흐[독일]=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독일 스포츠카 브랜드 포르쉐가 엔트리 모델에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도입 가능성을 내비쳤다.

베냐민 파센베르크 포르쉐 배터리시스템 셀&컨트롤 디렉터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독일 바이자흐 포르쉐 R&D센터에서 열린 글로벌 전기차 워크숍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근 LFP 배터리의 발전은 매우 매력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파센베르크 디렉터는 "기존에 포르쉐가 LFP를 채택하지 않았던 것은 크기와 무게 때문이었는데 (최근 LFP 배터리는) 충전 속도가 빠르고 크기도 개선돼 기본적으로 포르쉐의 방향과도 부합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으로서는 엔트리 모델 정도에 고민해 볼 수 있는 하나의 옵션이지 않을까 싶다"며 "아직은 고출력 퍼포먼스에 적합하지 않고 출력이 개선되면 그때 (고출력 모델에도) 고민해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포르쉐 전 라인업에 LFP 배터리를 탑재하는 것은 시기상조이지만, 엔트리 모델을 중심으로 점진적인 도입을 시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포르쉐는 첫 전기 스포츠카 타이칸에 LG에너지솔루션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를 쓰고 있고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마칸 일렉트릭에는 중국 CATL의 NCM 배터리가 들어간다.

LFP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낮은 대신 저렴하고 안정성이 높은 배터리로, CATL을 비롯한 중국 제조사들이 시장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다.

파센베르크 디렉터는 CATL이 최근 공개한 나트륨이온 배터리에 대해서는 "아직 에너지 밀도가 포르쉐 차량과 맞지 않아 나트륨 배터리를 고민하는 단계는 아니다"라며 "저가라는 장점이 있어 앞으로 활용될 범위는 있겠으나 아직인 것 같다"고 말했다.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와 관련해서는 "우리도 깊이 있게 보고 있고 파트너사와 함께 연구하고 있다"면서 "현재 개발단계로 봤을 때 추후 충전 속도와 출력이 개선되면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크숍에 배석한 다른 포르쉐 관계자도 "(전고체 배터리는) 스포츠카 용도로 장점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에너지 밀도나 수명 측면에서도 좋을 것 같다"고 밝혔다.

포르쉐 전기차 파워트레인[포르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bing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