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

삼성전자, 쇄신보단 안정·미래 기술 선점…석학·AI 전문가 전면에

연합뉴스입력
SAIT 원장에 글로벌 석학 박홍근 하버드대 교수…반도체 근원적 기술력 회복 2인 대표이사 체제 회복으로 경영 안정 도모…반도체·스마트폰 직접 챙겨

SAIT 원장에 글로벌 석학 박홍근 하버드대 교수…반도체 근원적 기술력 회복

2인 대표이사 체제 회복으로 경영 안정 도모…반도체·스마트폰 직접 챙겨

삼성전자 서초사옥[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21일 삼성전자가 발표한 정기 사장단 인사는 당초 예상과 달리 '경영 안정'에 집중한 소폭 인사로 마무리됐다.

당초 사업지원실 개편으로 정현호 부회장이 용퇴하며 대대적인 쇄신 메시지가 담긴 대폭의 인사가 단행될 것으로 전망됐으나, 최근 시작된 사업 경쟁력 회복을 유지하기 위해 안정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풀이된다.

대표이사 2인의 진두지휘하에 경영 안정을 도모하는 동시에 인공지능(AI) 전문가를 내세워 과감한 미래 도전을 꾀한다는 구상이다.

이날 삼성전자가 단행한 사장단 인사 규모는 총 4명으로 작년(9명)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그러나 그중 2명을 기술 인재로 선임했다.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속도를 내기 위해 각 부문의 기술 수장에 글로벌 석학과 인공지능(AI) 전문가를 과감히 내세운 것이다.

삼성전자, 2026년 정기 사장단 인사(서울=연합뉴스) 삼성전자는 21일 '2026년 정기 사장단 인사'를 발표했다. 사진 왼쪽부터 전영현 반도체(DS) 부문장·메모리사업부장, 노태문 모바일·가전(DX) 부문장·MX사업부장, 박홍근 SAIT원장, 윤장현 DX부문 CTO 사장 겸 삼성리서치장. 2025.11.21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이는 경영 안정을 도모하면서도 미래 혁신 기술과 연구개발은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삼성전자 반도체의 차세대 기술을 연구하는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 원장에 외부 인사인 박홍근 하버드대 교수를 사장 직급으로 신규 위촉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한 점이 눈에 띈다.

박 사장은 1999년 하버드대 교수로 임용된 후 25년 이상 기초과학과 공학 전반의 연구를 이끌어 온 글로벌 석학이다.

삼성전자는 박 교수를 영입하기 위해 오랜 시간 공을 들인 것으로 전해진다.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 부회장이 취임 후부터 강조해온 근본적인 기술력 회복을 위한 적임자로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박 사장이 외부 인사라는 점은 삼성전자 반도체 기술 조직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박 사장은 반도체 초격차 회복을 위해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포함해 AI 메모리 시장의 원천적인 기초 기술 강화에 집중할 전망이다.

디바이스경험(DX)부문 차원에서는 'AI 드리븐 컴퍼니'(AI Driven Company)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전문가를 발탁했다.

윤장현 삼성벤처투자 대표이사가 DX부문의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 겸 삼성리서치 장으로 승진했다.

윤 사장은 MX사업부 출신의 소프트웨어 전문가로 지난해 말 삼성벤처투자 대표이사를 맡아 AI, 로봇, 바이오, 반도체 등 유망기술 투자를 주도해 왔다. 모바일, TV, 가전 등 주력사업들과 AI, 로봇 등 미래 기술간의 시너지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 강화에 집중할 전망이다.

DX부문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던 노태문 사장은 정식 부문장으로 선임되는 동시에 대표이사를 맡게 됐다. 전영현 DS부문장 부회장과 함께 '2인 대표이사 체제'로 복귀했다.

전 부회장은 메모리사업부장을, 노 사장은 MX사업부장을 그대로 겸임한다.

양 부문장이 직접 주요 사업을 진두지휘하며 지속적인 경쟁력 강화와 경영 안정에 집중한다.

삼성전자 측은 이번 인사에 대해 "2인 대표이사 체제를 복원하고, 핵심사업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하에서 경영안정을 도모하는 동시에 미래 기술을 선점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부사장 이하 2026년도 정기 임원인사와 조직개편도 조만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jakm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인기순|최신순|불타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