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역사문제 어떻게…"日, 일관되고 진정성 있는 인식 밝혀야"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독도 영유권 주장, 침략 및 식민 지배 정당화,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부정,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관계 진전에 '걸림돌'이 되는 역사 인식 등의 문제를 풀려면 정부 차원의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 국제 학술회의에서 "(한일 간) 역사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도깨비방망이'는 없다"며 이런 입장을 밝혔다.
남 연구위원은 '역사 갈등'을 막기 위해서는 양국의 입장 차이를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생산적인 결론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1965년 국교 정상화 이후 역사 문제와 관련해 양국이 이룬 성과와 한계, 원론적인 견해차 등을 명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남 연구위원은 "일본 정부는 식민지 지배는 부당했다는 일본 정부의 확립된 견해를 토대로 일관되고 진정성 있게 역사 인식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 정부를 향해서는 "법적·정치적·도의적 접근을 분리해 단계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인식 차이를 줄여 나가기 위한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남 연구위원은 역사 문제를 논의할 때 양국이 구성했던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봤다.
그는 2002년부터 2009년까지 2기에 걸쳐 운영했던 위원회를 재개하자고 제안하며 "장기적이고 지속해 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장을 하는 게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일선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도 참여해 역사 논의를 현장과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근현대사를 연구해 온 가토 게이키(加藤圭木) 일본 히토쓰바시대 교수는 이날 발표에서 1990년대부터 본격화한 '양국의 역사 공동 연구 성과와 흐름을 짚었다.
가토 교수는 "공동 연구의 성과를 널리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며 "학술서도 중요하지만 쉽게 읽을 수 있는 교양서 형태의 책을 함께 집필하는 것도 효율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양국의 최신 연구 성과가 충분히 다뤄지지 않는 부분도 있다"며 소규모로 밀도 있게 교류를 이어가거나 지역사 연구 등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거론했다.
이번 학술회의는 한국과 일본이 국교 정상화 이후 걸어온 여정을 짚고, '공생과 번영'을 위해 나아갈 방향을 논하고자 동북아역사재단과 현대일본학회가 함께 마련했다.
외교·경제·사회·문화 등 한국과 일본에서 활동하는 연구자와 언론인 100여 명이 참여했다.

ye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