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핵잠수함' 제안에 트럼프 공감…후속협의 진행키로(종합)

(경주=연합뉴스) 임형섭 이상현 황윤기 기자 =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경주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도입을 위한 후속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회담 직후 경주 국제미디어센터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두 정상은 경제상황은 물론이고 동맹 현대화, 한반도 평화, 지역 정세, 한미 간 조선제조업 협력 등 포괄적 의제에 대해 논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은 (회담에서) 한반도와 역내 평화 안정을 위한 한미동맹의 역할을 높이 평가하고, 탈냉전 시대 급격히 변화하는 역내 안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국방비 증대와 함께 핵추진잠수함 도입 문제를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북한의 핵잠수함 건조 등 여건 변화에 따라 한국이 핵추진잠수함 능력을 필요로 한다는 데 공감을 표하면서 후속 협의를 해나가자고 했다고 위 실장은 전했다.

이 대통령은 평화적 목적의 우라늄 농축, 사용 후 핵 연료 재처리 등에 대한 관심을 요청하며 "핵연료 상당 부분을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원전 폐기물 처리도 시급하다"고 언급했다고 위 실장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공감을 표하면서 한국의 진전된 역량을 토대로 원자력 등 핵심 전략산업 분야에서 더 큰 협력 기회를 모색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이 요청한 핵추진잠수함 연료 공급 허용을 위해선 기존의 한미 원자력 협정을 손봐야 한다면서 "핵연료는 군사적 목적에 쓰이는데, 기존 원자력 협정은 군사적 목적엔 적용되지 않아 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원자력 협정 개정 논의 전망과 관련해선 "기존 협의를 통해 일정한 방향성에 대한 양해가 이뤄져 있다"며 "앞으로 구체적 진전을 위한 협의를 해나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위 실장은 또 이 대통령이 한반도의 긴장 완화 및 '중단·축소·폐기'를 통한 비핵화 추진 의지를 설명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핵 개발로 한반도와 동북아의 안보 상황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며 "북핵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한미동맹이 억지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김 위원장이 원한다면 언제든 다시 적극적으로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고 위 실장은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노력을 평가하면서 "2018년 싱가포르 합의를 토대로 한반도 평화 실현을 위해 필요한 역할을 해나갈 것이며 그 과정에서 이 대통령과 긴밀히 상의해 나갈 것"을 확인했다고 위 실장은 강조했다.
조선 협력과 관련해 양 정상은 양국 NSC(국가안보회의) 간 조선 협력 협의체를 출범시키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을 다시 백악관에 초청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에 사의를 표명하고 상호 편리한 시기를 찾기로 했다.
위 실장은 이번 회담 전반에 대해 "동맹 현대화를 위한 여러 전략적 현안에 대해 미 측의 적극적 협조 의사를 확인한 것이 핵심 성과"라며 "미래지향적 동맹으로 한층 더 격상되는 한미동맹의 새 장을 열었다"고 강조했다.
hapyr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