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 효과에 7월 소비 29개월만에 최대폭↑…수출은 불확실성(종합2보)

(세종=연합뉴스) 안채원 송정은 기자 = 7월 산업생산과 소비·투자가 모두 증가했다. '트리플 증가'는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이다.
지난달 21일부터 지급된 민생회복소비쿠폰과 소비심리 회복 등의 영향으로 소비가 2년5개월 만에 최대폭 늘었다.
서비스업 등에 힘입어 생산이 두 달 연속 증가했으나, 반도체·자동차 등 수출 주력산업 생산은 크게 줄어 '관세 불확실성'은 여전한 모습이다.

◇ 산업생산 두 달째 '플러스'…휴가철·관세에 자동차 7.3%↓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 지수(계절조정)는 114.4(2020년=100)로 전달보다 0.3%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은 지난 4∼5월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가 6월(1.5%) '플러스'로 전환해 2개월 연속 늘었다.
광공업 생산은 전자부품(20.9%), 기계장비(6.5%) 등에서 생산이 늘어 직전 달보다 0.3% 증가했다.
자동차 생산은 7.3% 감소했다. 지난해 7월(-11.4%)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7월 휴가철과 부분파업, 미국 전기차공장 현지 생산 등 관세 발효 효과가 생산과 수출에 영향을 미쳤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반도체 생산도 3.6% 감소해 작년 7월(-6.9%) 이후 최대폭 감소했다.
다만 전월 큰 폭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반도체 생산은 20.5%, 자동차는 6.4% 증가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수출 측면에서 관세협상 타결은 긍정 요인"이라면서도 "관세 유예 시기의 선수요가 어떻게 조정될지는 지켜봐야 해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건설 부진은 계속됐다.
건설업 생산을 보여주는 건설기성(불변)은 1.0% 감소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토목(10.1%)에서 공사실적이 늘었으나 주거용·비주거용 등 건축에서 4.8% 줄었다.

◇ 가전환급·신제품 출시에 내구재 소비 5.4%↑
소비 관련 지표는 호조세를 보였다.
상품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달보다 2.5% 늘었다.
2023년 2월(6.1%) 이후 29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다.
소매판매는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도 2.4% 늘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2022년 1월(5.3%) 이후 42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통계청 이두원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7월 소매판매는 2차 추경에 포함된 민생회복소비쿠폰,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 등 영향으로 전월비, 전년동월비 모두 증가했다"고 말했다.
소매판매 중 내구재가 5.4% 늘었다. 갤럭시Z 플립·폴드7 등 신제품 출시 효과로 통신기기 및 컴퓨터가 16.8% 증가했고, 가전제품도 6.6% 증가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1%), 의복 등 준내구재(2.7%)도 판매가 늘었다.
민생회복소비쿠폰이 외식·미용·헬스장 등 서비스 소비에도 영향을 미치며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0.2% 증가했다.
도소매업이 3.3% 증가했고, 숙박음식업(2.0%), 예술·스포츠·여가(7.5%), 협회·단체·수리·기타개인서비스업(8.4%) 등에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18.1%), 기계류(3.7%)에서 투자가 늘어 전월보다 7.9% 증가했다. 지난 2월(21.3%) 이후 5개월 만에 증가했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1포인트(p) 하락했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전달 대비 0.5p 상승했다.
기재부는 이날 "어렵게 되살린 내수 회복 모멘텀이 확산할 수 있도록 추경 사업을 신속히 집행하겠다"며 "미국 관세 협상 후속 조치에 전력을 기울이고, 우리 기업 피해 지원을 위한 추가 보완 방안도 9월 중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j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