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윤종·이충면 전 안보실 비서관…회의서 尹 격노·지시사항 조사
"김계환 이번주 추가 조사 조율중…尹, 조사해야 할 중요한 피의자"
"김계환 이번주 추가 조사 조율중…尹, 조사해야 할 중요한 피의자"

(서울=연합뉴스) 김철선 권지현 기자 = 채상병 사건 수사방해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주재한 이른바 'VIP 격노' 회의에 참석했던 비서관들을 금주 내로 조사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특검은 2023년 7월 31일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했던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을 지난 11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했고, 당시 회의 참석자에 대한 조사를 이어 나갈 예정"이라며 "이번주엔 이충면 전 국가안보실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을 불러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특검보는 "당시 보고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이에 대해 윤석열 전 대통령은 어떻게 지시했는지를 조사할 방침"이라며 "참석자였던 만큼, 여러 의혹에 대해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우선 특검팀은 이날 오후 이충면 전 비서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왕 전 비서관에 대한 조사도 이번주 내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VIP 격노설은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대통령실 회의에서 채상병 사건 조사결과 보고받은 뒤 '격노'했고,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전화로 질책하면서 경찰 이첩을 보류시키고 조사 결과를 바꾸게 했다는 의혹이다.
그간 이 회의 안건을 비롯해 배석한 참석자들조차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을 비롯해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 이관섭 전 국정기획수석,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등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충면·왕윤종 전 비서관도 참석했다는 사실은 이날 처음 공개됐다.
특검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당시 회의 상황을 비롯해 7월 31일 회의 이전부터 윤 전 대통령이 채상병 사건 조사에 대해 개입한 정황 등도 조사할 계획이다.
앞서 김태효 전 차장은 지난 11일 특검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으로부터 한 장짜리 채상병 사망 사고 보고를 받았고, 직후 언성을 높이며 화를 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회의에서 채상병 사망사건 관련 보고가 없었고,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한 사실도 없었다는 기존 입장을 뒤집고, 'VIP 격노'를 직접 목격했다고 처음으로 진술한 것이다.
한편, 특검팀은 'VIP 격노설'을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처음으로 전달한 것으로 지목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이번 주 내로 추가 조사하기 위해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당시 안보실 2차장이었던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이종섭 도피 의혹'에 연루된 조태열 외교부 장관도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정민영 특검보는 수사외압 의혹의 정점인 윤 전 대통령에 대해선 "중요하게 불러 조사해야 할 피의자"라며 "조사에 응하지 않으면 여러 가지 방법을 고민해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특검 수사로 구속돼 현재 서울구치소에 수용돼있다. 다만 내란 특검의 조사를 위한 출석요구에 건강상 이유를 들어 응하지 않고 있다.
특검은 지난 10일부터 국방부와 국가안보실, 윤 전 대통령 자택 등 총 20여곳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으며, 이를 통해 휴대전화 30여개와 하드디스크 10여개 등 압수물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kc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