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급 걸림돌 해소"…유휴 전력 활용 독려·충전소 10년 이상 토지 임차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전기차를 국가적 전략 산업으로 육성해온 중국이 국내 충전 시설 확충과 용량 확대를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8일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국가에너지국, 공업정보화부, 교통운수부는 전날 '고출력 충전 설비의 과학적 계획·건설 촉진에 관한 통지'를 공개했다.
통지는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보급의 마지막 걸림돌을 해소하기 위해 '기술의 강제 업그레이드'와 '시나리오 기반 인프라 구축', '전력망 협업'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내연기관차의 주유 효율에 맞먹는 충전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방향을 제시했다.
또 '스마트하고 질서 있는 충전 시설' 개념을 제시, 가격 신호를 통해 유휴 충전 시설 이용을 유도하거나 태양광·배터리 시설 설치를 허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지방정부들이 전력망 용량을 확대하는 부담을 줄여주기로 했다.
아울러 통지는 충전소에 10년 이상의 토지 임차 기한을 부여하고, 지방정부 특별채권을 충전 시설 확충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려책도 명시했다.
통지는 각 지역이 고속도로 내 충전 시설 건설 계획을 수립하고, 연휴 기간 이용률이 40%를 넘은 충전 시설에 대해선 우선적으로 고출력 개조를 하도록 했다.
그러면서 오는 2027년까지 중국 전역에 걸쳐 고출력 충전 시설이 10만대 이상 확보돼야 하고, 서비스·기술 업그레이드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작년 말 기준 중국의 신에너지차 보유량은 3천140만대로 전체 자동차의 8.9% 비중이었다.
작년 신규 등록된 신에너지차는 1천125만대로 2023년 대비 382만대 늘어 증가율은 51.49%에 달했고, 올해 1∼5월 신에너지차 생산량은 570만대(45.2% 증가), 판매량은 561만대(44% 증가)로 산업 규모는 계속 커지는 추세다.
중국전기차충전인프라촉진연맹 데이터를 보면 올해 5월 기준 중국 전역의 충전 인프라는 1천440만대로 집계됐다. 하지만 현재 중국 공공 충전소 시장은 '저출력 중심', '고속 충전 보급 부족', '초고속 충전은 걸음마 단계' 등의 구도를 보인다고 제일재경은 설명했다.
최근 주요 전기차 메이커들이 800V급 고압 차종을 속속 내놓으면서 업계에선 주행거리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고출력 충전 시설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으나, 업체별로 각자 충전 시설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중복 투자 등 문제 제기도 이어졌다.
중국 광저우자동차의 전기차 브랜드 아이안이 직류 고속 충전기를 1만3천659대 보유해 중국 최다를 기록했고, 테슬라와 웨이라이, 폭스바겐 등도 각각 충전기 1만대 이상씩을 설치한 상태다.
중국 당국은 이번 통지에서 "신에너지차 기업이 스스로 설치한 고출력 충전 시설 네트워크는 원칙적으로 차별 없이 개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xi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