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직 남발" "소통 부족"…전북도의원들, 전북도 행정 질타
연합뉴스
입력 2025-05-07 15:43:49 수정 2025-05-07 15:43:49
염영선 "정무직 신설 신중"…이명연 "협치, 도정 중요 원칙"


염영선 전북자치도의원[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전주=연합뉴스) 임채두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원들이 전북도의 '정무직 남발', '소통 부족'을 한목소리로 질타했다.

염영선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원(정읍 2)은 7일 제418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정무직이 꼭 필요한지 꼼꼼하게 살핀 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도는 도지사가 임명하는 정무직 3개 직위(정무수석·정책협력관·정무보좌관)를 운영하고 있고 5급 상당의 청년정책비서관 신설을 계획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민선 8기 초기 때 2명이었던 정무직은 4명으로 늘어난다"고 부연했다.

그는 "전북도는 그간 경제와 민생을 살리기 위해 능력, 전문성에 중점을 두고 인재를 발탁했다고 했다"면서도 "그러나 도지사를 지근거리에서 도와야 할 정무직들은 그 존재의 명분이 퇴색돼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간 도 정무직들은 음주운전 사고, 업무추진비 유용 등으로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염 도의원은 "청년 정책을 지원하는 정무직 신설은 필요하지만 (정무직들의) 업무 중복 등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며 "전국 4개 지자체(인천·부산·광주·경기) 중 3곳이 청년정책비서관을 없앤 이유도 깊이 있게 검토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이명연 전북도의원(전주 10)도 이날 5분 자유발언으로 "의회는 거수기가 아니다"라며 전북도의 소통 부족을 지적했다.

이 도의원은 "전북도가 도정을 실행한 후 의회에 협조와 동의를 구하는데, 이는 의회의 권한을 무력화하는 행위인 동시에 협치에 반하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구체적으로 "최근 16개월 동안 전북도가 (기업, 기관과) 체결한 업무 제휴 및 협약은 153건, 투자협약은 109건인데 의회는 사전에 어떤 정보도 획득할 수 없고 논의에 참여할 수도 없는 현실"이라고 짚었다.

이어 "사전에 의회에 보고하고 승인을 득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지사가 협치를 도정 수행의 중요 원칙으로 생각한다면 협약 체결 이전에 의회와 함께 고민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d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