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회동서 시기·방식 합의될까…불발 땐 '11일 전 단일화' 불투명
일각선 '후보교체론' 플랜B 거론…당 의총참석 요청에 金측 "일정상 어려워"
일각선 '후보교체론' 플랜B 거론…당 의총참석 요청에 金측 "일정상 어려워"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김치연 이은정 조다운 기자 =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예비후보의 7일 저녁 '담판'에 당 안팎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당 지도부는 단일화 시한을 대선후보 등록 마감일(11일)로 잡고, 이날 김·한 후보의 합의가 도출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담판 결과에 따라 보수 진영 '빅텐트'의 향배도 달라질 전망이다.
김·한 후보는 오후 6시 서울 모처에서 회동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선 단일화에 대한 각자의 의지를 확인하는 동시에 단일화 방법과 시기도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양측이 이날 담판에서 여론조사 방식의 단일화에 합의할 경우 조사 방식과 시기에 대한 실무 논의를 거쳐 8∼10일 중 여론조사를 실시하면 후보 등록 마감 직전 단일화를 완료할 수 있다는 계산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해 한 후보는 11일까지 단일화가 이뤄져야 하며, 방법에 대해선 당에 일임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김 후보는 11일보다 늦어져도 투표용지가 인쇄되는 25일 전까지만 성사되면 단일화 효과가 있다고 본다.
현재 여론조사상 후보 경쟁력과 적합도에서 한 후보가 앞서는 것으로 나오지만, 김 후보는 당의 공식 후보인 만큼 시기를 늦출수록 역전을 모색할 수 있다고 보는 셈이다.
한 후보는 후보 등록 전 단일화에 실패할 경우 향후 선거운동이나 협상 과정에서도 무소속 후보로 뛰어야 해 시간적 여유가 상대적으로 적다.
이같은 입장차 때문에 김·한 후보가 어렵사리 마주 앉더라도 평행선만 달리다가 돌아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당 지도부는 김 후보를 향해 전당대회 과정에서 약속한 '조속한 단일화'를 이행하도록 압박 수위를 높여가는 모습이다. 이날 '11일 단일화 타임라인' 도출에 실패하면 후보 등록 전 단일화가 결렬된 것으로 간주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이 경우에 대비해 지도부는 당원을 대상으로 단일화 찬반과 시기를 묻는 여론조사를 진행 중이다. 김·한 후보의 담판을 지켜본 뒤 조사 결과를 공개할지 결정하기로 했다.
조속한 단일화에 응하도록 김 후보를 압박하기 위해 권성동 원내대표는 오후에 의원총회를 소집했고, 김 후보에게도 의총에 참석해달라는 입장을 전달했다.
그러나 김 후보 비서실장(김재원 전 의원)은 의총 참석을 요청하기 위해 캠프를 찾은 원내지도부에 "후보가 여러 일정이 있어서 시간을 빼기 어려울 것 같다"며 사실상 불참 의사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당내 일각에선 양측이 후보 등록 전 단일화에 실패할 경우 대선 후보를 교체하는 '플랜 B' 시나리오도 거론된다.
'상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비대위 의결로 후보를 교체할 수 있다'는 취지의 당헌상 특례규정(74조 2)을 바탕으로 내부 검토도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당 핵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후보교체론'과 관련해 "그런 이야기는 함부로 하면 안 된다. 우리 당에 없었던 일이고, 후보에 대한 예의도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전직 의원 210명은 김 후보 캠프에서 김 후보 지지 호소문을 발표했다. 당에서 김 후보를 향한 단일화 압박이 고조되는 데 대한 '맞불' 의미가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zhe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