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층서 정권교체 65.7%·정권연장 29.6%…당지지율 민주 2.5%p↓·국힘 0.4%p↓
"추경 등 주요 정책 논의 부족, 민생 소홀 지적…양당 지지율 하락"
"추경 등 주요 정책 논의 부족, 민생 소홀 지적…양당 지지율 하락"

(서울=연합뉴스) 조다운 기자 = 정권 교체 선호 의견이 56.9%, 정권 연장 선호 의견이 37.0%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7일 나왔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4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천516명을 대상으로 '야권에 의한 정권 교체'와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 선호도를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5% 포인트)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 '잘 모름'이라고 답한 비율은 6.1%였다.
이번 조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전인 지난 2일부터 탄핵 심판 선고 당일까지 진행돼 질문 내용에는 '여당의 정권 연장', '야권의 정권 교체'라는 표현이 반영됐다.
일주일 전 조사와 비교해 정권 교체 여론은 0.2%포인트(p), 정권 연장 여론은 0.8%p 줄어든 수치다.
정권 교체 여론은 권역별로 대전·세종·충청(50.0%→54.7%, 4.7%p↑), 대구·경북(46.9%→50.3%, 3.4%p↑)에서 올랐고, 광주·전라(74.5%→65.1%, 9.4%p↓), 부산·울산·경남(54.0%→50.8%, 3.2%p↓), 서울(58.2%→57.2%, 1.0%p↓)에서 내려갔다.
정권 연장 여론은 권역별로 광주·전라(20.8%→27.9%, 7.1%p↑)에서 상승했고, 대전·세종·충청(42.8%→38.8%, 4.0%p↓), 대구·경북(48.8%→44.9%, 3.9%p↓)에서 하락했다.
지지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층의 90.9%가 정권 연장을, 민주당 지지층의 95.5%가 정권 교체를 희망했다. 무당층에서는 정권 교체 여론이 47.5%, 정권 연장 여론이 21.2%로 정권 교체 여론이 우세했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92.5%가 정권 교체를 기대했고, 보수층의 74.6%가 정권 연장을 기대했다. 중도층에서는 정권 교체가 65.7%, 정권 연장이 29.6%로 정권 교체가 이뤄져야 한다는 여론이 앞섰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4.8%, 국민의힘 35.7%로 조사됐다.
직전 조사와 비교해 민주당 지지도는 2.5%p, 국민의힘 지지도는 0.4%p 각각 하락한 수치다. 양당 간 격차는 9.1%p로 2주 연속 오차범위 밖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지지도는 충청권(5.6%p↓), 부산·울산·경남(5.6%p↓), 광주·전라(5.3%p↓), 서울(3.3p↓), 60대(9.9%p↓), 50대(4.8%p↓), 중도층(3.5%p↓) 등에서 하락했고, 대구·경북(5.4%p↑)에서 상승했다.
국민의힘 지지도는 대구·경북(7.1%p↓), 대전·세종·충청(5.1%p↓), 20대(6.6%p↓), 40대(6.5%p↓), 30대(3.4%p↓), 진보층(2.3%p↓) 등에서 내렸으나, 광주·전라(4.6%p↑), 부산·울산·경남(4.2%p↑), 서울(2.7%p↑), 60대(9.8%p↑), 보수층(2.5%p↑) 등에서 올랐다.
리얼미터는 "최근 산불 피해 복구와 미국의 25% 관세 부과 등 경제적 불안정이 심화하는 가운데 여야는 정치적 공세에만 집중하며 민생 현안에 대한 실질적 대응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추가경정예산 편성 및 국민연금 구조개혁과 같은 주요 정책에 대한 논의 부족이 국민적 실망을 초래하며 양측 모두 지지율 하락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밖에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3%, 진보당 1.2%, 기타 정당 1.7%를 기록했다.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8.2%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무선(100%)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6.6%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alllu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