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북구 산불 진화 중 사고…의성 추락사고 11일만
"44년 된 노후 기종"…목격자 "농막과 부딪힌 뒤 거꾸로 뒤집혀 추락"
"44년 된 노후 기종"…목격자 "농막과 부딪힌 뒤 거꾸로 뒤집혀 추락"

(대구=연합뉴스) 이강일 박세진 황수빈 기자 = 산불 진화에 투입된 노후 임차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하는 사고가 6일 또 발생했다.
지난달 26일 경북 의성 산불 현장에서 임차 헬기가 추락한 지 11일 만이다.
6일 오후 3시 41분께 대구시 북구 서변동에서 난 산불 진화 작업에 나선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정모(74) 씨가 숨졌다.
사고 헬기에는 조종사 1명이 타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헬기는 이날 오후 서변동 야산에서 난 불을 끄기 위해 투입됐다가 산불 현장에서 100m가량 떨어진 곳에 추락했다.
추락 현장에서 50m 가량 떨어진 밭에 있다가 사고를 목격한 시민 김영호(70)씨는 "산불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한 사고 헬기가 두 번 정도 인근 저수지에서 물을 떴다"며 "세 번째 물을 떠서 현장으로 가던 중 갑자기 헬기가 농막 쪽 대각선 방향으로 내려오더라"라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헬기가 계속 고도를 높이지 못하던 중 지상 5m 높이 상공에서 '멈칫'하더니 헬기 밑에 달려 있던 물통(물 버킷)이 헬기 뒤쪽에서 앞으로 튀어 나갔다"며 "헬기 뒤쪽에 달려있던 프로펠러가 농막과 부딪히더니 위아래가 180도 거꾸로 뒤집혀서 그대로 떨어졌다"라고 사고 순간을 전했다.
또 "꼬리 날개가 비닐하우스 천에 걸려서 헬기가 떨어진 것 같다"고도 했다.
그는 현장을 목격한 뒤 근처에 있던 시민과 함께 추락 현장에 뛰어가 화염에 휩싸인 헬기 안에 의식을 잃은 채 있던 조종사를 구조하려고 시도했지만 조종사의 팔이 부서진 헬기 잔해에 끼어 있어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김씨는 얼굴 등에 화상을 입었다.

사고 헬기는 대구 동구청 임차 헬기로 생산된 지 44년 된 벨(BELL) 206L 기종이다.
미국 벨 헬리콥터가 1981년 제작한 것으로 최대 탑승인원은 7명이다.
길이 12.96m, 너비 2.33m, 높이 3.56m다.
담수 용량은 550ℓ다.
동구청 임차 기간은 지난 1월 1일부터 오는 6월 말까지다.
경찰과 관계 당국은 이날 오후 5시 30분께 조종사의 시신을 수습했다.
이어 현장 수습이 마무리되면 목격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할 계획이다.
이날 산불 진화에는 모두 5대의 헬기가 동원됐다.
오후 3시 12분께 발생한 산불은 1시간여 만인 오후 4시 18분께 진화됐다.
산림 당국과 북구청은 현장에 인력을 보내 뒷불 감시작업을 하고 있다.
앞서 지난달 26일 낮 12시 34분께 경북산불 진화에 투입됐던 강원도 임차 헬기가 의성군 신평면에서 추락해 70대 조종사 1명이 사망했다.
당시 추락 헬기는 강원도 인제군 소속의 담수 용량 1천200ℓ의 S-76 기종 임차 헬기이다.
1995년 7월 생산돼 30년 가깝게 운항했다.

leek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