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결혼 반토막, 외국인과 혼인 54%↑…출생아는 3분의 1로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지난 30년간 결혼 건수가 거의 반토막이 됐지만 외국인과의 혼인은 50% 이상 증가했다.
저출생 심화로 태어난 아기는 3분의 1로 축소됐으며, 아이를 낳아도 한명만 낳는 추세가 강해졌다.
통계청은 3일 이런 내용의 '지난 30년간 우리나라의 혼인·출생 변화'를 발표했다.
◇ 초혼 연령, 남녀 모두 30대 진입
혼인 건수는 1995년(39만8천500건)에서 1996년(43만4천900건)으로 늘며 정점을 찍고 2022년 19만1천700건까지 쪼그라들었다.
2023년 19만3천700건, 2024년 22만2천400건으로 2년 연속 증가했으나 30년 전에 비하면 44.2% 적다.
이 가운데 외국인과의 결혼은 1995년 1만3천500건에서 지난해 2만800건으로 53.9% 늘었다.
전체 혼인 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4%에서 9.3%로 확대됐다. 10건 중 1건은 다문화 결혼인 셈이다.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 간 결혼이 1995년 1만400건에서 지난해 1만5천600건으로 50.7% 늘었고, 한국 여자와 외국 남자의 결혼도 3천100건에서 5천건으로 64.2% 증가했다.
평균 초혼 연령은 1995년 남자 28.4세, 여자 25.3세에서 지난해 남자 33.9세, 여자 31.6세로 남자는 5.5세, 여자는 6.2세 높아졌다.

◇ 출산도 늦어져…비혼·쌍둥이 출생 증가
출생아 수는 1995년 71만5천명에서 급감해 2023년 23만명으로 최저를 기록한 후 지난해 23만8천명으로 소폭 늘었다. 30년간 66.7% 감소한 것이다.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1995년 1.63명에서 2024년 0.75명으로 0.89명(54.2%) 줄었다.
해당 연령 여성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인 연령별 출산율은 지난해 25∼29세 20.7명, 30∼34세와 35∼39세는 각각 70.4명, 46.0명이었다. 1995년과 비교해 20대는 감소했으나 30대는 증가했다.
배우자가 있는 여성 인구 1천명당 혼인 중 출생아 수인 유배우 출산율은 지난해 25∼29세 203.5명, 30∼34세 171.5명, 35∼39세 69.1명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의 유배우 출산율이 2015년 정점을 보인 후 하락했다가 2022년부터 상승하고 있다"며 "결혼한 사람 가운데서는 출산이 늘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1995년 27.9세에서 2024년 33.7세로 5.8세 상승하였으며, 부의 평균연령은 같은 기간 31.1세에서 36.1세로 5.0세 높아졌다.
첫째아의 비중은 크게 확대됐다.
1995년 34만5천800명이던 첫째아는 지난해 14만6천100명으로 19만9천700명(57.7%) 감소했다.
하지만 첫째아 비중은 1995년 48.4%에서 지난해 61.3%로 13.0%포인트(p) 커졌다.
둘째아와 셋째아 감소폭이 각각 23만1천900명(75.4%), 4만5천100명(73.5%)으로 더 컸기 때문이다.
혼인 외의 출생아 비중은 같은 기간 1.2%에서 5.8%로 확대됐다.
쌍둥이 등 다태아 출생아 비중은 1995년 1.3%에서 2024년 5.7%로 4.3%p 늘었다.

sj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