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중국에 H20 판매할 것"…H20 재고 규모만 6조원
중국용 GPU 'RTX 프로' 주목…'GDDR7' 1위 삼성 수혜 전망
중국용 GPU 'RTX 프로' 주목…'GDDR7' 1위 삼성 수혜 전망

(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인공지능(AI) 칩 'H20' 공급 재개를 허가하면서 주요 고대역폭 메모리(HBM) 제조업체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수혜를 볼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다만 엔비디아가 수십억 달러 규모의 H20 재고를 쌓아둔 만큼 당장 H20으로 인한 수혜보다는, 중국 전용 그래픽카드인 'RTX 프로'와 향후 출시 가능한 AI 칩에서 이익을 얻을 것으로 관측된다.

16일 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우리의 (H20) 수출을 승인해 출하할 수 있게 됐다"면서 "이제 중국 시장에 H20을 판매할 것"이라고 밝혔다.
H20은 엔비디아가 중국에서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유일한 AI 칩이다. 중국 딥시크도 추론 AI 모델에 H20을 사용했다.
하지만 지난 4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제재 일환으로 H20의 수출을 제한하면서 엔비디아의 손실은 커졌다.
젠슨 황 CEO는 지난 5월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 행사에서 "우리는 수출 규제로 H20 제품을 중국에 출하할 수 없게 됐고, 그 결과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재고를 전액 손실 처리해야 했다"며 "이는 일부 반도체 회사의 매출 전체에 맞먹는 규모"라고 말하기도 했다.
특히 H20에 탑재되는 4세대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3 제품의 대부분은 SK하이닉스가 공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도 일부 공급하는 것으로 시장에서는 보고 있다.
일각에선 H20 재고가 상당히 쌓여있는 만큼 당장 H20에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가 H20용 HBM을 추가로 공급해 매출을 늘리기란 어렵다는 분석이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현지 언론 보도를 인용해 "엔비디아는 현재 45억달러(약 6조2천억원) H20 재고를 보유 중이며 이는 1개 분기 수요를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기존 H20 재고를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을 겨냥한 저전력 그래픽처리장치(GPU) 'RTX 프로 6000(B40)'에 업계 이목이 쏠린다.
여기에는 최신 그래픽 메모리인 'GDDR7'이 탑재돼 GDDR7 시장 1위인 삼성전자가 가장 큰 수혜를 볼 수 있어서다.
SK하이닉스와 미국 마이크론도 이 시장에서는 후발주자다.
앞서 황 CEO는 지난 3월 미국에서 개최된 'GTC 2025'에서 삼성전자 부스를 찾아 GDDR7에 친필 사인을 남기기도 했다.
이와 더불어 엔비디아가 H20 재고 소진 후 향후 H20 또는 다른 AI 칩을 중국에 내놓을 경우, HBM 시장 역시 커지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더 많은 물량을 공급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업계 관계자는 "H20 제재가 풀렸지만 현재 재고가 많아 당장 눈에 띄게 삼성이나 SK하이닉스의 실적이 달라지진 않을 것"이라며 "다만 향후 출시할 AI 칩이나 RTX 프로로 이르면 연말 또는 내년부터 수혜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업계에서는 이번 엔비디아 수출 규제 해제로, 조만간 미국 행정부가 발표할 예정인 반도체 관세 정책과 수출 규제가 완화될 수 있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burni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