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김문수 해묵은 충북 현안 내세워…일부는 20대와 판박이
"반복되는 공약, 실현 가능성 회의감 가져와…구체화 필요" 지적
"반복되는 공약, 실현 가능성 회의감 가져와…구체화 필요" 지적

(청주=연합뉴스) 전창해 기자 = 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주요 후보자의 공약에 충북지역의 해묵은 현안이 다수 포함됐다.
선거 때마다 반복해서 거론만 될 뿐 현실화하지 못했던 현안들이어서 대선 후 해법이 찾아질지 주목된다.
19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에 따르면 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충북 '1호 공약'으로 나란히 청주국제공항 활성화를 내세웠다.

두 후보는 민간 전용 활주로를 신설해 청주공항이 수도권을 대체하는 중부권 거점공항으로 거듭날 수 있게 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민군 복합공항이라는 한계를 가진 청주공항의 열악한 인프라 문제는 그 방법론만 상이했을 뿐 선거 때마다 거론되는 현안이다.
18대 대선에서 당선한 박근혜 전 대통령은 충북을 위한 7대 공약에 청주공항 경쟁력 강화 지원을 포함했지만, 획기적인 변화는 없었다.
20대 대선에서 겨뤘던 윤석열 전 대통령과 이재명 후보는 청주공항의 신활주로 재포장·연장과 여객청사·화물청사 확충을 들고나왔다.
하지만 이 역시 국가 지원 사업으로 연결되지 않았고, 지금은 김영환 충북지사의 제안으로 촉발된 민간 활주로 신설이라는 새로운 대안이 급부상한 상태이다.
충북 지역사회가 똘똘 뭉쳐 정부에 민간 활주로 신설을 건의 중인 가운데 그간의 대선 공약이 헛구호에 그쳤던 만큼 유권자들은 더욱 매서운 시선으로 후보들의 행보를 주시하고 있다.
이 후보와 김 후보가 공약에 포함한 청주교도소 이전도 지역의 대표 숙원이다.
이 후보는 20대 대선 때도 청주교도소 이전을 공약한 바 있다.
청주교도소 인근 1㎞ 내에는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즐비해 주민들의 이전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2012년 총선을 시작으로 각종 선거 때마다 여야 후보들의 단골 공약으로 등장했지만, 막대한 이전 비용과 대체용지 문제로 여태껏 현실화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선거용 재탕, 삼탕 공약 아니냐'는 의심의 눈길을 보내기도 한다.
백두대간을 활용한 관광 활성화 공약 역시 20대 대선에 이어 재등장했다.
당시 윤 전 대통령과 이재명 후보의 공통 공약이었는데, 이 후보는 이번에도 충주호와 단양8경은 호반 관광·휴양벨트로 연결하고, 소백산·속리산·장령산·민주지산을 잇는 백두대간 탐방벨트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충주호 문화예술 리트리스와 백두대간 관광벨트 및 숲속 힐링센터를 조성해 관광 활성화를 도모하겠다고 강조했다.
두 정당의 환경 공약도 20대 대선의 판박이다.
이 후보는 당시와 마찬가지로 청주 미호강 프로젝트를 내세웠다. 미호강과 미호천의 수량 확보로 생태하천을 복원한다는 것이다.
반면 김 후보는 대청호 주변 지역의 주거·관광·교육·복지시설 입지 제한 개선 등 환경규제 완화를 약속했는데, 이는 윤 전 대통령의 공약과 일치한다.
지역 정가의 한 인사는 "선거 때마다 반복되는 공약은 실현 가능성에 대한 회의감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며 "구체적인 계획과 차별성으로 유권자의 선택을 끌어내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지금은 이재명'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7개 지역, 62개 세부공약으로 구성된 충북 공약을 확정·발표했다.
국민의힘은 오는 20일 50개 안팎의 시군별 핵심 공약을 카드뉴스 형태로 공개할 예정이다.
jeon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