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단축 협약 거부 후보는 6공 헌법 수호 세력…李 진정성 지켜볼 것"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김정진 조다운 기자 = 국민의힘은 19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제안한 '대통령 4년 연임' 개헌 구상의 배경에는 민주당의 장기집권 의도가 깔려있다며 공세를 이어갔다.
그러면서 차기 대통령 임기 단축을 포함한 김문수 대선 후보의 개헌 구상을 토대로 두 후보가 '개헌 협약'을 맺어야 그 진정성을 입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겸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은 이날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이 후보 개헌 공약을 두고 "표면적 명분은 제왕적 대통령제를 고치자는 것이지만,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권력을 나누겠다는 게 아니라 권력의 축을 다시 짜고 정치적 유불리를 계산한 게 드러난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김문수 대선 후보는 전혀 다른 길을 제시한다"며 "대통령을 3년만 하고 그 기간에 정치 개혁과 헌정 개편을 마무리하고, 스스로 권한과 임기를 줄이겠다고 선언했다. 또 대선과 총선을 2028년에 동시에 치르자는 '브릿지 개헌'을 국민께 약속했다"고 소개했다.
나경원 공동선대위원장은 "(김 후보가 제시한) 중임은 단 한 번의 재선 기회만 허용하며 8년을 넘을 수 없지만, 연임은 장기 집권을 가능케 하는 혹세무민의 단어"라고 이 후보의 '4년 연임제' 개헌안을 집중 비판했다.
나 위원장은 "이 후보의 '푸틴식 장기집권 개헌'에 국민은 속지 않는다"며 "대리인·허수아비 대통령을 내세워 4년짜리 징검다리를 놓고 다시 돌아오는 '푸틴식 재임 시나리오'가 있는 게 아닌지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도 현안 브리핑에서 "이재명의 개헌안은 매우 불순하다"며 "연임제로 해서 대리인에게 맡겨놨다가 돌아와서 하고, 이게 전형적인 러시아식이고 권력의 영구 장악을 의도한 개헌안"이라고 비난했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의 '개헌 협약' 제안을 수용해야 한다고 이 후보를 압박했다.
전날 김 후보는 '4년 중임제'를 포함한 개헌 구상을 발표하면서 "2028년 총선 주기와 대선을 일치시키기 위해 이번 대선에서 당선되는 대통령의 임기를 5년에서 스스로 3년으로 단축하는 결단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발 앞서 개헌 구상을 밝힌 이 후보에 맞서 논의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임기 단축 카드를 내걸고 개헌 실행 의지를 강조한 것으로 풀이됐다.
이정현 공동선대위원장은 회의에서 "(김 후보의 차기 대통령) 임기 단축 개헌 협약을 거절하는 후보는 6공 헌법 수호 세력으로 볼 수밖에 없다"며 이 후보를 압박하고 나섰다.
김재원 후보 비서실장은 KBS 라디오에서 "선거 전략, 선전용으로 개헌을 주장하는 게 아니고 진정한 개헌의 의지를 밝히자는 의미에서 아예 협약을 체결하고 국민 앞에서 개헌에 대한 약속을 문서화하자는 것"이라며 "이 후보의 (개헌) 진정성이 어느 정도인지 앞으로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minary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