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사 입주 이제 3년인데…경기도·도의회 복합청사 또 추진
연합뉴스
입력 2025-05-13 15:15:52 수정 2025-05-13 15:23:00
경기융합타운 내 연면적 2만여㎡ 규모…사실상 '의원회관' 지적


경기도청·도의회[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 경기도와 도의회가 광교신도시 내 경기융합타운에 연면적 2만㎡가 넘는 복합청사를 추진한다.


두 기관이 지난 2022년 1~5월 팔달산 구청사에서 경기융합타운 신청사로 차례로 이전한 지 3년밖에 되지 않았는데 추가로 청사 건립에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경기도건설본부는 13일 '공공복합청사 건립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발주했다고 밝혔다.

도청사와 도의회청사 인근의 유보지(5-1블록) 5천354.8㎡에 두 기관이 함께 사용하는 복합청사를 짓기 위해 9천여만원을 투입해 추진하는 연구용역이다.

도청의 경우 본청사에 입주하지 못하고 각각 다른 건물을 임대해 사용 중인 합의제 행정기관 3곳(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 경기도감사위원회, 경기도도민권익위원회)을 위해 복합청사에 3천여㎡의 공간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도의회는 경기도의 6배가량인 1만8천여㎡를 추가 필요 공간으로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의원실(170실) 5천100㎡, 정책지원관실(170실) 1천700㎡, 생활관(50실) 1천500㎡, 복지시설(헬스장, 휴게실 등) 1천200㎡ 등이다.

경기융합타운에 들어선 공공기관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체육관(3천300㎡)도 포함됐다.

복합청사 부지의 건폐율(60%)과 두 기관이 요구하는 연면적(2만1천여㎡)을 고려하면 복합청사는 지상 7~8층 규모로 예상된다.

땅값을 제외한 건립비는 500억~1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경기도건설본부는 예상했다.

경기도건설본부 관계자는 "두 기관 모두 업무공간이 협소해 공공복합청사를 추진하게 됐다"며 "도의회의 경우 차기인 제12대 도의회의 도의원과 정책지원관 정원 증가, 상임위원회와 담당관 확대 등을 이유로 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도의회 한 직원은 "도의회 공간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지만 별도로 대규모 복합청사까지 마련해야 하는지 의문"이라며 "복합청사에 경기도 협의체 행정기관도 있지만 사실상 '의원 회관' 용도로 쓰이게 되는 만큼 타당성 조사가 면밀히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사업비 4천780억원을 투입해 신축한 경기융합타운 내 현 경기도청사(25층)과 도의회청사(12층)는 한 건물로 이뤄져 있으며 연면적은 15만8천29㎡ 규모다.

도청사에 2천500여명, 도의회청사에 5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c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