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부터 처리까지 전 과정 체계화…관리·통계 정확도 향상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대통령 선거가 약 한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서울시가 현수막의 관리·재활용을 위한 체계 구축에 나선다.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성동구 용답동 중랑물재생센터 내 폐현수막 전용 집하장(약 220㎡ 규모)을 설치했다고 6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폐현수막의 발생부터 처리까지 전 과정을 체계화해 전량 재활용을 실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용 집하장 마련으로 자치구의 보관 공간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처리 물량 규모화를 통한 처리 단가 인하도 기대된다.
시는 또 전용 집하장 설치와 더불어 통계 신고 매뉴얼을 배포해 자치구별 통계 정비 및 작성 기준을 일원화할 계획이다.
폐현수막 발생량과 재활용 통계의 정확도를 높여 투명하고 체계적인 자원관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시는 화학사, 업사이클링 업체, 부직포 생산업체 등 다양한 민간기업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재활용 방안 다각화도 추진한다.
시는 특히 폐현수막의 '소각 없는 재활용' 확대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 3년간 서울시의 평균 폐현수막 발생량은 186t으로, 이 중 52%가 매립·소각 처리됐으며, 재활용률은 2022년 38.8%에서 2024년 42.1%로 상승했다.
연간 폐현수막 약 200t을 소각 대신 부직포 원료화나 업사이클링 등으로 재활용하게 되면 처리비용을 절감할 뿐 아니라 온실가스 약 530tCO₂eq(이산화탄소환산톤)을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승용차 약 110대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또는 30년생 소나무 약 8만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에 해당한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올해를 '폐현수막 100% 재활용 원년'으로 삼고, 앞으로도 자치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도시 전체의 자원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kih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