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파병 북한군 높이 '칭송'…"북러 조약에 근거한 합법 파병" 주장
크렘린궁 "푸틴·김정은 접촉 아직 계획 없어"
크렘린궁 "푸틴·김정은 접촉 아직 계획 없어"

(서울·모스크바=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최인영 특파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북한군 파병에 대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공개적으로 감사의 뜻을 밝혔다.
러시아가 지난 26일 북한군 파병을 처음으로 공식 인정하며 쿠르스크 지역을 해방했다고 주장한 이후 푸틴 대통령까지 김 위원장에게 공식적인 감사를 표한 것이다. 러시아는 나아가 필요한 경우 러시아도 북한에 군사원조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크렘린궁 홈페이지에 게시한 성명을 통해 "북한군 부대는 우리 영토를 침공한 우크라이나 신나치 부대를 격퇴한 전투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며 "이를 높이 평가하며 개인적으로는 (북한) 국무위원장인 김정은 동지에게, 그리고 전체 지도부 및 북한 인민에게 진심으로 감사한다"고 말했다.
쿠르스크 전선에 투입된 북한 파병군에 대해선 "우리 북한 친구들은 연대감과 정의감, 진정한 동지애로 움직였다"며 "그들은 명예와 용기로 자신의 임무를 수행했다"고 칭송했다.
이어 "러시아 병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우리 조국을 자신의 것처럼 수호한 북한 병사들이 전투 중 보인 영웅적 행위와 탁월한 훈련과 헌신을 높이 평가한다"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국민은 북한 특수부대의 영웅적 행위를 절대 잊지 않을 것이다. 러시아를 위해, 우리 공동의 자유를 위해 러시아 전우와 나란히 싸우고 목숨을 버린 영웅들을 언제까지나 기릴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 "전장에서 단련된 양국 간 우정과 선린관계, 협력의 강고한 유대가 계속 성장하고 전반에 걸쳐 확대돼 갈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성명에서 러시아 영토인 쿠르스크에서 벌어진 전투에 북한군이 가담한 건 국제법에 전혀 어긋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파병에 대해 "2024년 6월 19일 러시아 연방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체결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의 정신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이 조약의 4조는 각 당사자가 상대방에 대한 무력 공격이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군사 원조를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군의 파병이 불법이라는 국제사회 비판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군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가담한 것은 유엔 헌장과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명백한 불법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 북러 조약에 기반한 파병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스스로 불법적 행위를 포장하기 위한 기만적 행태"라고 지적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특별군사작전의 경험은 러시아와 북한의 조약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작용하는지 보여준다"며 북한의 파병이 조약에 따라 이뤄졌다고 재차 강조했다고 타스 통신이 보도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이어 "우리 사이에는 유효한 조약이 있고, 이 조약으로 양측은 서로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게 돼 있다"며 러시아도 필요성이 제기되면 북한에 군사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북한군이 쿠르스크 지역 해방 작전에 참전했다는 내용을 담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서면 입장문을 보도했다. 작년 10월 1만명이 넘는 정예 병력을 러시아에 파병한 이후 처음으로 이를 공식 확인한 것이다.
러시아와 북한은 북한군의 쿠르스크 전투 참가를 시인하지 않다가 지난 26일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이 푸틴 대통령과의 화상회의에서 북한군 파병을 언급하면서 파병을 공식 인정했다.
이에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조만간 다시 만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군사 동맹 수준의 협력 관계를 강조하며 북러 정상회담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두 정상이 이르면 내달 9일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 승리 기념일(전승절) 80주년 행사에서 대면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일각에선 오는 9월 블라디보스토크 동방포럼이 양국간 정상회담 무대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러한 관측에 대해 페스코프 대변인은 "(두 정상의 접촉 계획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북러 정상회담이 조만간 열리지는 않더라도 다른 형식으로 북한군 파병에 대한 대가를 제공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hwangch@yna.co.kr
북러 '北참전' 공식인정, 왜?…우크라군, 북한군 섬멸작전 공개 / 연합뉴스 (Yonhapnews)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