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과기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2025년도 시행계획 의결
이공계 외국인 유학생 2만9천여명…베트남·중국 유학생 가장 많아
이공계 외국인 유학생 2만9천여명…베트남·중국 유학생 가장 많아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정부가 과학기술 인재 확보를 위해 장학금 및 연구장려금 지원을 확대하고 해외 우수연구자 유치를 위한 기관유치 방식도 새로 도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제21회 미래인재특별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제4차 과기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2025년도 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올해 정부는 지난해 대비 1조4천506억원 늘어난 9조2천825억원을 과학기술 인력 육성과 지원에 투자한다.
우선 우수학생 이공계 장학금 규모를 507억원에서 573억원으로 늘리고 연구장려금 지원 박사과정생 수도 1천122명에서 2천281명으로 늘린다.
과학기술전문사관 석사 트랙을 새로 도입하고 개인 기초 연구지원도 확대한다.
차세대반도체와 이차전지, 양자 등 국가전략기술분야와 첨단산업 분야 석박사 연구인력 양성도 추진한다.
영재학교와 과학고 중심 인공지능(AI) 분야 미래인재를 양성하며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운영 등을 통해 소프트웨어(SW) 전문 인재 양성 규모도 늘린다.
연구자 경력단절 방지를 위한 대체인력 지원 및 가족친화 인증 기업 및 기관 확대를 통해 유연근무 지원도 강화한다.
해외 우수 연구자를 전략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브레인풀(BP) 사업에 기관유치형을 새로 도입하고 국내 유치와 정책을 위한 비자제도도 개선한다.
또 석박사급 연구인력의 해외파견과 해외 공동연구 등을 지속 추진하고 지자체 주도 대학지원체계(RISE) 추진과 함께 글로컬대학도 10개 이내로 새로 지정한다.

이날 미래인재특위는 처음으로 이공계 외국인 유학생 및 해외 체류 한국인 유학생 현황을 조사한 결과도 심의·의결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 체류 중인 이공계 외국인 유학생은 2만9천187명으로 대학 과정이 2만186명, 대학원 과정이 9천1명이었다.
출신 국가는 베트남이 25.1%로 가장 많았고 중국 24.5%, 우즈베키스탄 9.7%로 나타났다.
국외 체류 중인 이공계 한국인 유학생은 2만9천770명으로 대학 과정이 2만438명, 대학원 과정이 9천332명이었다.
체류 국가 별로는 미국이 44.9%로 가장 많았고 일본 13.9%, 캐나다 11.8%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미래인재특위는 과학기술 유공자 예우 계획을 담은 '2025년도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 시행 계획'도 심의·의결했다.

shj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