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흔드는 내수부진…매장 판매직 1년새 10만명 급감(종합)
연합뉴스
입력 2025-04-24 14:13:41 수정 2025-04-24 15:26:53
건물건설업 취업자 8만6천명 줄어…임금직 10명 중 1명은 月100만원 못벌어


숙박·음식점업, 전례 없는 최장 불황(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대표적인 서비스 내수 업종으로 꼽히는 숙박·음식점업이 통계 집계 이래 전례 없는 장기 불황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103.8(2020년=100)로 1년 전보다 3.8%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3년 5월부터 지난 2월 사이에 작년 1월만 제외하고는 내내 감소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종로구 한 상가에서 2층에 있던 카페가 폐업했다고 안내하는 모습. 2025.4.13 nowwego@yna.co.kr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내수 부진 장기화 여파로 매장에서 일하는 판매직원과 건설업 종사자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34개로 잘게 쪼갠 산업 분류를 기준으로 취업자가 가장 많은 곳은 음식점업이었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을 보면 작년 하반기(10월) 기준 163개 소분류 직업군 중 매장판매 종사자는 150만7천명(5.2%)으로 가장 많았다.

작물재배종사자가 134만3천명(4.7%)으로 뒤를 이었고 청소 관련 종사자는 124만9천명(4.3%)으로 세 번째로 많았다.

1년 전에 비해 매장판매 종사자가 10만명 줄어들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건설·광업 단순종사자도 6만1천명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역대급 내수 부진 장기화, 건설업 불황 등 영향으로 풀이된다. 키오스크 보급 확대 등 서비스업 무인화도 중장기적으로 도소매업 취업자를 줄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청소 관련 종사자는 4만6천명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전기·전자공학기술자·시험원은 4만 3천명 늘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과 30∼49세는 매장판매 종사자가 각각 7.7%, 4.4%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50세 이상은 '작물재배 종사자'(9.2%) 비중이 가장 컸다.

건설업 한파, 일감 기다리는 일용직 구직자들로 가득찬 인도(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18일 새벽 인력사무소가 밀집한 서울 남구로역 인근 인도가 일감을 구하려는 일용직 구직자들로 가득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건설업 취업자 수는 약 192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16만8천명이 줄었다. 이는 2017년 1월(188만9천명) 이후 가장 적은 수치이다. 2025.2.18 superdoo82@yna.co.kr

종사상지위에 따른 9개 직업 대분류 구성비를 보면 상용근로자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30.1%로 가장 많았고 사무종사자(27.0%),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11.3%) 등 순이었다.

임시·일용 근로자는 단순노무 종사자가 40.8%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 종사자(17.9%), 판매종사자(11.2%) 등이 뒤를 이었다.

비임금 근로자는 농림·어업숙련 종사자(22.3%), 서비스종사자(15.6%), 판매종사자(15.4%) 등 순이었다.

임금근로자의 임금 수준 분포를 보면 200만∼300만원이 31.6%로 가장 많았고 400만원 이상(26.5%), 300만∼400만원(22.0%), 100만∼200만원(10.4%) 등 순이었다. 전체 임금직의 9.6%는 월 100만원 미만을 버는 것으로 분석됐다.

임금 수준 비중은 400만원 이상, 300만∼400만원, 100만원 미만은 1년 전보다 각각 1.8%포인트(p), 0.5%p, 0.4%p 상승했다. 반면 200만∼300만원, 100만∼200만원은 각각 1.6%p, 1.1%p 하락했다. 임금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임금 수준이 200만∼300만원인 임금직 비중은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부동산업에서 각각 47.0%, 41.6%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400만원 이상 임금직 비중은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49.6%), 금융 및 보험업(49.0%)에서 높았다.

234개 산업 소분류별로 취업자를 보면 음식점업이 166만2천명(5.8%)으로 가장 많았고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159만4천명·5.5%), 작물재배업(140만7천명·4.9%) 등이 뒤를 이었다.

취업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은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8만8천명)이었다. 건물건설업 취업자는 8만6천명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연령별 취업자 비중을 보면 청년층과 30∼49세는 음식점업이 각각 10.4%, 4.5%로 가장 많았다. 5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작물재배업(9.6%)이었다.

작년 하반기 취업자는 2천884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8만3천명 늘었다.

ro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