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해양 항행정보시스템 혁신 전략'
해양정보 산업 시장 규모 27조원으로 확대
해양정보 산업 시장 규모 27조원으로 확대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해양수산부는 오차를 5㎝ 이내로 줄인 고정밀 위치정보를 자율운항선박 등 첨단 모빌리티에 활용하도록 서비스하고 해양정보 산업의 시장 규모를 6조원 더 키우기로 했다.
해수부는 이런 목표를 담은 '해양 항행정보시스템 혁신 전략'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해 24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해 첨단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해상에 있는 등부표 1천800기 등 해양 인프라가 수집한 정보로 해양정보 산업화를 지원하는 내용이 이번 전략의 핵심이다.
지난해 개발을 끝낸 고정밀 위치정보서비스는 GPS의 위치정보 오차를 기존 10m에서 5㎝로 보정하고, 이를 방송망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공해 스마트 항만, 자율운항 선박뿐만 아니라 육상 물류 운송, 농업용 드론 등 다양한 첨단 모빌리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현재 7만명 규모인 항행정보시스템 이용자를 2029년에 110만명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해양정보를 활용하는 산업의 시장 규모도 현재 21조원에서 2029년 27조원으로 6조원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서해 접경수역 지역에서 북한의 GPS 전파 교란에 어업 활동이 제약받지 않도록 지상파위치정보시스템의 수신기를 선박에 보급한다.
이와 더불어 지상파항법시스템의 위치 오차를 현재 최소 20㎝ 수준에서 10㎝ 수준으로 개선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센서를 갖춘 스마트 항로표지를 개발해 해상 등부표 등 항행정보시설이 항로 안내 기능을 넘어 해양 기상, 환경, 생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표류하는 사고 선박을 표시하는 이동식 항로표지와 긴급 위험구역 표시용 가상 항로표지 등 특수목적 항행정보시설도 도입한다.
이렇게 수집한 해양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전용 통신망을 구축한다.
해수부는 오는 2028년을 목표로 고정밀 위치정보서비스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하며, 산·학·연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또 전 세계 항행정보와 해양관측정보를 수집·공유하는 역할을 맡을 국제항로표지기구 산하 '국제협력센터'(가칭)를 국내에 유치할 계획이다.
y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