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 준수' 佛국내법과도 상충…맥도날드 등 美기업 불매운동 확산

(서울=연합뉴스) 임지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프랑스 일부 대기업에도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을 금지한 자국 행정명령을 준수하라고 경고한 사실이 알려지자 프랑스 당국이 "받아들일 수 없는" 개입 행위라면서 강하게 반발했다.
AFP 통신에 따르면 프랑스 재무부는 29일(현지시간) "프랑스 기업의 포용 정책에 대한 미국의 개입은, (미국의) 정당화될 수 없는 관세 위협과 마찬가지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프랑스와 유럽은 우리의 회사와 소비자, 가치를 지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외신들은 프랑스 파리 주재 미국 대사관이 일부 프랑스 대기업에 DEI 정책을 금지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준수하라고 경고하는 서한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이 서한에는 미국 외의 기업이라도 미국 정부의 공급업체나 서비스 제공업체인 경우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적용된다고 명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여기에는 해당 기업이 트럼프 행정부의 'DEI 정책 금지'를 준수하는지를 입증하기 위한 설문지가 포함됐으며 해당 기업은 5일 안에 이를 작성해 회신할 것을 요구받았다고 AFP는 전했다.
다만 언론에 공개된 서한은 미국 대사관 공식 서한 양식을 따른 것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파리 소재 미국 기업 변호사인 크리스토퍼 메스누는 AFP에 만약 기업들이 해당 형식 그대로 서한을 받은 것이라면 이는 외교적 수준의 공식 소통은 아닐 수 있다고 짚었다.
메스누 변호사는 그러면서 미국 정부는 프랑스 기업에 미국 법을 지키라고 강요할 수 없다고 말했다.
현재 프랑스는 직원 1천명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임원의 최소 30%를 여성으로 채용하는 등 성평등 준수를 법으로 권고하고 있는데, 이번에 미국 대사관이 보낸 서한을 준수하게 된다면 이러한 프랑스 법을 어길 위험이 있다고 AFP는 짚었다.
아미르 레자 토피기 프랑스 중소기업연합회(CPME) 회장은 이번 미국 대사관의 서한은 프랑스의 "주권에 대한 공격"이라면서 프랑스 정치 및 재계 지도자들이 이에 맞서기 위해 뭉쳐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과 반(反)유럽 기조로 반미 정서가 고조된 프랑스의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맥도날드와 코카콜라, KFC, 나이키, 테슬라 등 대표적인 미국 기업에 대한 불매 운동(보이콧)도 확산하고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프랑스 현지 매체가 지난주 공개한 여론조사에서 프랑스 국민 10명 중 6명이 미국 제품 불매를 지지한다고 답했으며, 3명 중 1명은 이미 불매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프랑스 소셜미디어(SNS)에서는 미국산 불매를 장려하는 '보이콧USA'라는 해시태그가 퍼지고 있다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불매 운동이 유럽 내에서 세 번째로 큰 미국의 무역 파트너인 프랑스에서 '역사적인 미국의 이미지 붕괴'라고 평가했다.
wisefo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