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살·생후 10개월 인질 유체 귀환…함께 보낸 엄마 시신은 유전자 불일치
이스라엘군 "하마스, 휴전협정 심각하게 위반"…여론 격앙 가능성
이스라엘군 "하마스, 휴전협정 심각하게 위반"…여론 격앙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신원불명의 유체를 인질의 시신으로 속여 이스라엘에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뉴욕타임스(NYT)는 20일(현지시간) 이스라엘군의 유전자 검사 결과 이날 하마스로부터 인계한 인질 시신 4구 중 1구가 신원불명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앞서 하마스는 휴전 협정에 따라 시리 비바스(납치 당시 32세)와 두 아들 아리엘(4)·크피르(생후 10개월), 오데드 리프시츠(84) 등 인질 4명의 시신을 이스라엘에 보냈다.
그러나 두 아들의 어머니인 시리 비바스의 경우 본인의 시신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는 것이다.
이스라엘군은 성명을 통해 하마스가 휴전협정을 심각하게 위반했다고 비판했다.
가자지구 인근 니르오즈 키부츠에 거주했던 시리와 두 아들은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테러 당시 납치됐다.
당시 니르오즈 키부츠주민 400명 중 약 4분의 1이 목숨을 잃거나, 인질로 잡혀갔다.
생후 10개월이었던 크피르는 하마스에 끌려간 가장 어린 인질이었다.

하마스는 이들을 납치한 뒤 한 달가량 지나자 "시리와 두 아들이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날 이스라엘 국립법의학센터 확인 결과 비바스 형제는 납치 상태에서 하마스에 살해됐다는 것이 이스라엘 군의 발표 내용이다.
하마스가 신원불명의 유체를 인질 시신으로 속인 비윤리적인 행동은 이스라엘 여론을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
앞서 하마스는 생존한 인질을 석방하는 과정에서도 군중 행사를 열고 감사 인사를 강요해 비난받았다.
이 때문에 다음 달 2일 휴전의 첫 단계가 만료된 뒤 전쟁을 재개하자는 이스라엘 내부 여론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달 도출된 휴전 협정에 따르면 하마스와 이스라엘은 1단계로 6주간 교전을 멈추고 인질과 수감자를 교환하면서 이스라엘 군인 석방과 영구 휴전 등 2·3단계 휴전 논의를 시작한다.
이스라엘이 1천500명 이상의 팔레스타인 수감자를 석방하는 조건으로 하마스는 인질 33명을 석방하기로 약속했다. 33명 중에는 시신 8구가 포함된다.
한편 두 아이의 아버지인 야르덴은 가족과는 별개로 하마스에 납치됐고, 휴전협정에 따라 이번 달 석방됐다.

kom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