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엑스포츠뉴스 나승우 기자) 아킬레스건에 통증을 느끼고 있는 김민재가 결국 셀틱전서 휴식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 파트너 다요 우파메카노도 결장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독일 매체 TZ는 11일(한국시간) "고통에 빠진 바이에른 뮌헨 듀오가 셀틱과의 경기에서 벤치에 앉을 수 있다. 두 선수 모두 몇 주 동안 통증을 안고 경기에 출전했고, 셀틱전서 휴식을 취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뮌헨은 오는 13일(한국시간) 영국 글래스고에 위치한 셀틱 파크에서 셀틱과 2024-2025시즌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 플레이오프 1차전을 치른다.
앞서 리그 페이즈를 12위로 통과한 뮌헨은 21위 셀틱과 맞붙게 됐다. 토너먼트 방식과 동일하게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러지는 가운데 뮌헨이 먼저 글래스고 원정을 떠나게 됐다.
뮌헨이 16강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셀틱을 꺾어야 한다. 객관적인 전력을 놓고 보면 뮌헨이 무난하게 16강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다만 문제는 많은 부상자다. 뮌헨은 주전 레트프백 알폰소 데이비스, 중앙 미드필더 주앙 팔리냐, 공격수 세르주 그나브리 등 여러 선수들이 크고 작은 부상으로 셀틱전에 출전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셀틱전을 앞두고 훈련에 불참했다가 마지막 훈련에 참가했던 김민재도 결국 휴식을 취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TZ는 "김민재와 우파메카노는 고통에도 불구하고 뮌헨 센터백으로 출전해왔다. 김민재는 지난해 10월 초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전서 3-3으로 비긴 후 아킬레스건염을 앓고 있다. 지난 몇 주 동안 휴식을 취할 시간이 있었지만 뱅상 콤파니 감독은 수비진의 괴물 없이는 경기를 치르고 싶어하지 않았다"고 콤파니 감독이 김민재 출전을 원했기 때문에 쉴 수 없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셀틱과의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그러면 김민재가 또 이를 악물어야 하나? 뮌헨은 김민재와 우파메카노 모두에게 휴식을 주는 걸 고려하고 있다"며 "우파메카노는 허리와 골반 문제로 1월 말 프라이부르크전에 출전하지 못했으며 현재 새로운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매체에 따르면 막스 에베를 뮌헨 단장은 "김민재와 우파메카노는 신뢰를 최대한 활용해 지금까지 매우 좋은 시즌을 보냈다. 물론, 우리는 그들에게 한두 경기 정도 휴식을 주고 싶었다. 하지만 효과가 없었다. 난 두 선수에게 지금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묻지 않았다"며 김민재와 우파메카노를 쉬게할 여유가 없었다고 밝혔다.

뮌헨은 셀틱 원정에서 김민재와 우파메카노에게 꿀맛 같은 휴식을 줄 계획이다. 대신 요시프 스타니시치와 에릭 다이어에게 선발 기회를 줄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부상에서 돌아온 일본 수비수 이토 히로키도 셀틱 원정 명단에 포함돼 출전 명령을 기다리고 있다.
이로써 김민재는 오랜만에 휴식을 취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번 시즌 콤파니 감독 체제에서 부동의 주전 센터백으로 활약 중인 김민재는 지난달 15일 호펜하임과의 리그 17라운드 때 부상 관리 차원으로 벤치를 지켰을 때를 제외하고, 이번 시즌 뮌헨이 치른 공식전 31경기에 모두 선발 출전했다.
휴식 없이 강행군을 달리면서 김민재를 둘러싸고 혹사 논란까지 나왔고, 셀틱과의 경기를 앞두고 팀 훈련에 불참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부상 우려도 있었다.
다행히 마지막 팀 훈련을 정상적으로 소화한 것으로 알려져 셀틱전 출전은 문제 없을 것으로 보였으나 뮌헨은 이번 원정 경기에서는 김민재에게 휴식을 부여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뮌헨의 자신감이 돋보인다. 셀틱은 스코틀랜드 최강 지위를 갖고 있다. 객관적인 전력에서는 뮌헨이 확실히 앞서지만 원정은 언제나 부담이 크다. 이번 시즌 챔피언스리그 원정에서 좋지 않은 성적을 거뒀던 뮌헨이기에 이번 원정에 힘을 쏟을 것으로 보였지만 1차전에서 최대한 좋은 결과를 얻어낸 후 2차전 홈에서 승부를 걸 작정으로 보인다.
한편, 김민재가 이 경기에 출전하지 않는다면 셀틱 공격수 양현준과 코리안 더비도 성사되지 않을 전망이다. 김민재는 1996년생 동갑내기 절친 황인범(페예노르트)과도 맞붙을 기회가 있었으나 황인범이 부상으로 결장해 코리안 더비가 불발된 적이 있다.
사진=연합뉴스
나승우 기자 winright95@xports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