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내일 국회 연설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제안할듯(종합2보)
연합뉴스
입력 2025-02-09 22:33:27 수정 2025-02-09 22:33:27
"국민, 직접 민주주의 요구" 2월 국회서 처리 검토…與 반발에 진통 예상
'국민 주권' 앞세워 정치개혁 선점 포석…개헌론자들 대응도 주목
'회복과 성장' 주제로 조기대선 청사진 제시…사회적 대화기구 제안할까


'모두의질문Q' 출범식(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정책소통플랫폼 '모두의질문Q' 출범식에서 격려사를 하고 있다. 2025.2.7 ondol@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안정훈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0일 국회 본회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국회의원에 대한 국민소환제 도입을 제안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9일 알려졌다.

민주당을 지지하는 이른바 '광장 민심'이 직접 민주주의 확대를 원하고 있는 만큼 국민들이 의원들을 직접 견제할 수단을 만들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여기에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소추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열린 상황에서 '국민에게 주권을 돌려준다'는 구호를 들고서 정치개혁 이슈를 선점하겠다는 판단도 담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권은 이 대표를 지지하는 민주당의 권리당원 영향력 확대를 위한 조치로 볼 가능성이 있어 이후 논의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더불어민주장 '모두의질문Q' 출범식(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정책소통플랫폼 '모두의질문Q' 출범식에서 격려사를 하고 있다. 2025.2.7 ondol@yna.co.kr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내일 연설문을 현재 조율 중이며, 그 내용에는 국민소환제 도입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국민소환제는 국회의원을 포함한 선출직 공무원을 임기 중에 국민 투표로 파면할 수 있는 제도다.

이 관계자는 "광장에 모인 시민들은 직접 민주주의를 요구하고 있다"며 "국정농단 사태 이후 국민들이 촛불을 들었고, 그 결과 대통령이 바뀌고 장관이 바뀌고 국회의원도 바뀌었지만, 현실은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 국민들의 인식"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국민의 요구를 국정에 반영해야 하고, 국민들이 국회의원을 실질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 장치를 도입해야 한다는 게 이 대표의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이 대표는 지난 "촛불혁명 때 국민들이 박근혜 정권을 끌어내렸지만, (그 후 국민들은) '그 결과가 뭐냐. 나의 삶은 얼마나 바뀌었나. 좋아진 게 없고 당신들 자리만 차지하고 내 삶은 바뀌지 않았다'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그러면서 "아고라를 다시 살려내야 된다. 국민이 직접 지배하는 나라로 최대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여당이 '이재명표 국민소환제' 도입에 반발할 것으로 예상돼 입법 논의는 지체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향후 조기 대선이 열릴 경우 대선 정국 쟁점이 될 가능성도 있고, 이 과정에서 개헌론을 지지하는 대권주자들이 들고 나올 공약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민주당 지도부 내에서는 개헌보다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정치개혁 법안을 2월 임시국회에서 통과시키는 방안에 무게를 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 대표는 교섭단체 대표 연설 상당 부분을 '성장 전략'에 대한 메시지에 할애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의 다른 관계자는 "연설 주제는 '회복과 성장'이 될 것"이라며 민생·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당 안팎에서는 이를 두고 최근 중도 공략·외연 확장 행보를 보여온 이 대표가 조기 대선 가능성이 열린 상황에서 '성장'에 초점을 맞춘 집권 청사진을 소개하는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 대표는 또 연설에서 국민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의 다른 관계자는 "내란을 극복하고 국민 통합을 바탕으로 주권자의 의사가 국정에 반영되는 '진정한 민주공화국' 건설에 민주당이 앞장서겠다는 다짐을 연설에 포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맥락에서 이 대표가 사회적 대화기구를 제안할 것이라는 관측도 일부에서 제기된다.

최근 이슈가 된 반도체 산업 '52시간 근무제' 예외 등 첨예한 사안을 조율해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hysu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