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산업계, 트럼프 관세 철회 촉구…중소기업은 존폐 고민까지(종합2보)
연합뉴스
입력 2025-02-02 19:12:43 수정 2025-02-02 19:12:43
"안방 시장도 직격탄인데…"…트럼프 관세에 기업들 울상
철강노조 "동맹국 공격은 안돼…관세로 양국 산업 위협"
소비자 가격 인상, 미국 수출 기업 향한 보복 우려도


기자회견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1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자 미국 내 노조, 업계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에게도 타격을 줄 수 있다며 관세 부과를 재고할 것을 촉구했다.

85만 노동자를 대변하는 미국 철강노조(USW)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성명을 내고 "USW는 오랫동안 고장 난 무역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개혁을 요구해왔지만, 캐나다와 같은 주요 동맹국을 공격하는 것은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들은 "매년 약 1조3천억달러 상당의 제품이 캐나다, 미국 국경을 지나 140만개의 미국 일자리와 230만개의 캐나다 일자리를 지원한다"며 "이러한 관세는 캐나다에만 피해를 주는 게 아니라 국경 양쪽의 산업 안정성을 위협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 노조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캐나다 관세에 대한 정책을 바꿔 장기적으로 노동자 가족들에게 도움이 되는 무역 해법에 집중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미국 각 업계를 대변하는 단체들도 소비자 영향, 글로벌 경쟁력 등을 거론하며 관세 철회를 요구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석유화학업계 단체(AFPM)는 성명에서 "우리는 북미 이웃 국가들과 신속히 해결책을 마련해 소비자들이 그 영향을 느끼기 전에 원유, 정제 및 석유화학 제품이 관세 일정에서 제외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미국-캐나다 국경에 나란히 걸린 두 나라 국기[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존 보젤라 자동차혁신연합 회장은 "북미의 원활한 자동차 무역은 3천억달러의 경제적 가치를 차지한다"며 "이는 우리의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산업 일자리, 자동차 선택 및 미국의 자동차 구매력을 지원한다"고 말했다.

식품산업 단체인 소비자 브랜드 협회(CBA)의 톰 매드레키 부사장은 "멕시코,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모든 상품에 대한 관세, 특히 미국에서 구할 수 없는 재료와 투입물에 대한 관세는 소비자 가격을 높이고 미국 수출업체에 대한 보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소비재 회사는 전세계 독특한 재배 조건과 기타 제한 요소로 인해 특정 수입품은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한다"며 "멕시코와 캐나다 지도자들에게 트럼프 대통령과 협력해 저렴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접근권을 보호하고 식료품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는 관세를 철폐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아마존과 포드 등 이번 주 실적 발표가 예정된 기업들이 관세부과에 따른 비용 증가와 관련한 질문 세례에 직면할 것이라면서 "많은 회사에 연락했지만 누구도 (자사의) 관세 관련 기록에 대해 언급하려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가상승으로 인해 가격을 낮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온 월마트와 타겟 같은 대형마트는 더 높은 공급망 비용을 견디지 못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월마트 로고[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월마트와 타켓은 이와 관련한 질의에 즉각적으로 언급을 내놓지 않았다.

하지만 대형 소매업체들을 대변하는 단체인 미국소매협회(NRF)의 데이비드 프렌치 정부 관계 담당 선임부회장은 백악관이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다른 수단을 찾을 필요가 있다면서 "이런 보편관세가 존재하는 한 미국인은 일상소비재에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하도록 강요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소기업 일부는 존폐까지 고민하는 상황으로 내몰릴 것으로 보인다.

캘리포니아에서 주류수입유통업체 '배드 옴브레 임포팅'을 운영해 온 프레드 산체스는 영국 BBC 방송 인터뷰에서 뉴욕, 일리노이 등지로 사업을 확장하려던 계획을 접고 폐업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마진율이 낮은 탓에 관세 부과로 인한 비용 상승분을 감당하기 어렵고, 그만큼 가격을 올리는 것도 현재 경제 상황에선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에서다.

산체스는 "25%는 현실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인기순
최신순
불 타는 댓글 🔥

namu.news

ContáctenosOperado por umanle S.R.L.

REGLAS Y CONDICIONES DE USO Y POLÍTICA DE PRIVACIDAD

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