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발주자 뛰어들어 500여일간 지구 495바퀴 돌았지만 역부족
(파리=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우리나라 부산이 2030 세계박람회 유치전에서 막판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를 추격하며 역전극에 도전했으나 결국 고배를 마셨다.
중앙과 지방 정부, 민간이 함께 지난 500여일간 지구 495바퀴에 해당하는 거리를 이동하고, 투표 직전까지도 분초를 쪼개 국제박람회기구(BIE) 대표 국가들을 상대로 총력 유치전을 벌였지만, 사우디의 '오일머니' 장벽을 끝내 뚫지 못했다.
결선 투표까지 가겠다는 전략을 세웠지만 예상보다 큰 표 차이로 뒤지면서 역부족을 실감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7월 민관 합동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경쟁국들보다 유치전에 늦게 뛰어들었다. 후발주자인 데다 종교나 지역에 기반해 기본적으로 확보하는 표밭이 없는 탓에 초반 열세라는 평가가 대체적이었다.
그러나 정부와 기업이 '원팀'을 이뤄 후반부로 갈수록 막판 스퍼트를 내며 사우디 리야드를 추격했다.
범정부 유치 활동상을 보면 윤 대통령은 정상회담과 각종 국제행사 등에서 90여개국, 500명 이상의 인사를 만나 부산 지지를 호소했다. 윤 대통령이 국빈 방문 등을 통해 직접 찾은 국가만 10여개국에 달하며, 특히 지난 6월 BIE 총회에서 직접 부산 홍보 프레젠테이션(PT)을 하기도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역시 90여개국의 150명 이상의 인사를 만나 교류하며 기회가 날 때마다 부산 지지를 요청했다.
한 총리는 9월부터는 한 달에 한 번 이상 해외 순방을 하며 BIE 회원국들을 직접 방문해 표심을 훑었다. 이 과정에서 비행기에서 숙박하는 강행군이 잦았고, 공식 면담 일정을 잡지 못했던 회원국 고위 인사를 공항, 심지어는 비행기 안에서 만나 붙들고 부산 지지를 설득하는 일도 있었다.
윤 대통령과 한 총리는 또한 정상급 인사들에게 전화 통화로도 지지를 요청했다.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주요 부처의 장·차관들도 각국 출장 때마다 힘을 함께 보탰다.
이번 엑스포 유치전을 민간 기업들이 함께 주도했다는 점도 한국의 특징점으로 꼽혔다. 한 총리와 함께 부산 엑스포 유치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은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의 '목발 투혼'이 대표적이다.
최 회장이 직접 방문했거나 국내외에서 면담한 국가는 180여개, 고위급 인사는 900명이 넘는다.
이재용 삼성전자, 정의선 현대차그룹, 구광모 LG그룹,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주요 기업 총수들도 틈나는 대로 해외에서 부산 엑스포 유치 활동을 벌여 왔다.
유치전 막판으로 갈수록 민관이 힘을 합쳐 투혼을 펼쳐 '박빙 열세'까지 따라잡았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지난 9월부터는 프랑스 파리에 '한국 본부'가 차려져 정부와 민간 '원팀' 인사들이 수시로 모여 각자의 유치 교섭 활동 경과와 확보한 정보를 공유하며 시너지 효과를 냈다.
이처럼 한국의 총력전으로 BIE 내부에서 "분위기가 달라졌다"는 변화가 감지되기 시작했다고 정부 관계자들은 전했다. 그러자 사우디 역시 견제 수위를 한껏 끌어올려 막판 유치 경쟁은 "총성 없는 전쟁"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치열했다.
사우디는 자국을 지지하는 국가의 파리 주재 대사가 비밀투표에서 '배달사고'를 낼까 우려해 본국에서 투표자를 파견해달라고 요청하는가 하면, 한국 측이 접촉한 국가·인사를 알아내 압박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측 역시 사우디의 공세에 맞서 맞춤형 대응과 역공을 했다고 정부 관계자들은 전했다. 양국이 서로의 동향 정보를 입수해 표를 뺏고 뺏기는 신경전이 투표 직전까지도 오가기도 했다.
이날 투표 직전까지 우리 측에서는 "혼돈 판세로 결선에 가면 승산이 있다"는 기대가 나오기도 했지만, 결국 실제 판세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발 주자인데다 막대한 물량 공세를 퍼부은 사우디가 선점한 표를 끌어오기에 는 여러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에 사우디가 개발 원조를 공언한 점도 한국엔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평가다.
shi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