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공단 국감장 한때 취재진 출입 막아…논란 일자 뒤늦게 허용(종합)

(전주=연합뉴스) 정경재 권지현 기자 = 국민연금공단이 국정감사 취재진의 국감장 취재를 막았다가 논란이 일자 뒤늦게 출입을 허용했다.
24일 오전 전북 전주시 국민연금공단 본부에서 진행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공단은 "국회방송 빼고는 못 들어간다"며 시작부터 취재진의 감사장 입장을 제한하고 나섰다.
이 때문에 국정감사를 취재하러 온 기자들은 감사장에 들어가지 못한 채 스크린을 통해 감사를 중계하는 회의실로 발걸음을 옮겨야 했다.
유튜브 등으로도 국정감사를 지켜볼 수 있지만, 발언 시간 초과로 마이크가 꺼진 상황에서는 발언 내용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자들에게는 현장 취재가 필수다.
또 공공기관과 부처를 감시·견제하는 국정감사에서 흔히 빚어지는 의원 간 갈등이나 언쟁 등은 현장에 있지 않으면 보도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의원과 보좌진이 분주하게 주고받는 메모, 휴대전화로 오가는 문자 내용, 불성실한 피감기관의 태도 등 감사장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변수 또한 취재가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국민연금공단은 언론의 취재를 제한한 이유를 묻자 "국회의 요청"이라고 밝혔다.
공단 관계자는 "국회 복지위 행정처의 요청으로 부득이하게 국정감사를 중계하는 국회방송을 제외한 다른 언론의 국정감사장 출입을 통제했다"며 "감사장이 협소하기도 하고 혼선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취재진 출입은 국감이 시작한 지 1시간여가 지나고서야 뒤늦게 허용됐다.
출입 제한에 대한 보도가 나온 후 박주민 위원장은 "국회는 출입 제한을 요청한 적이 없다"고 말했으며, 야당 간사인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도 "언론인의 출입을 막을 이유는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공단은 "기자 출입 제한은 국회의 요청에 의한 것이 아니라 감사장 안전 등을 위해 진행했던 공단 실무자 소통 과정에서 오해가 발생한 것"이라며 "현재는 출입이 가능하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jay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