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

정부 "장애 전산시스템 647개 중 101개 가동"…복구율 15.6%(종합2보)

연합뉴스입력
전소된 96개 시스템 대구이전 업체 선정·장비입고…복구현장 576명 투입작업 속도 '우체국 쇼핑몰' 소상공인 지원 본격화…33억 물품 구매·민간 쇼핑몰 입점 지원 미복구시스템 49%, 대체수단 확보…공무원 업무용 'G드라이브' 복구 불가
국정자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브리핑(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행안부 차관)이 1일 정부세종청사 민원동 공용브리핑실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0.1 scoop@yna.co.kr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오진송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로 멈췄던 행정정보시스템 647개 중 1등급 업무 21개를 포함해 101개가 복구된 것으로 파악됐다.

장애 엿새째 복구율은 15.6%로, 작업 성과가 더디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브리핑에서 이런 복구 현황을 전하며 "(전소된) 7-1 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이전을 위한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업체가 선정돼 장비 입고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선정된 업체는 NHN클라우드다.

하지만 복구된 정보시스템 중에도 장애가 다시 발생하는 경우가 나오고 있다. 교육부 등 일부 중앙부처는 이날 오후 공직자통합메일 접속이 불안정해 메일 접속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알렸다.

무엇보다 공무원들이 보고서 작성 등 업무 자료를 보관하는 G드라이브가 완전히 소실돼 복구가 어려운 상황이다. G드라이브는 5층 7-1 전산실에 있어 피해가 컸다.

임정규 행안부 공공서비스국장은 "결재와 보고와 관련된 자료는 G드라이브뿐만 아니라 온나라시스템에도 같이 저장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정부의 최종 보고서나 자료는 모두 보관돼 있다"면서도 "인사혁신처만 유일하게 G드라이브에만 자료를 보관하고 있어 복구 상황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민 국정자원 운영기획관은 복구 속도가 느리다는 지적에 대해 "정체기가 맞다"면서도 "클라우드존별 인프라가 구축되면 서비스 복구에 속도가 확 붙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클라우드존 구성에 따라 빠르면 이번 주 토요일(4일)부터 꾸준히 서비스가 복구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자원 화재로 멈춘 전산망, 복구율 10%대(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정부가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서비스 복구작업에 나선 가운데 1일 서울 한 주민센터에 행정정보시스템 일부 중단 안내문이 붙어있다. 전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30일 오후 2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가운데 91개(14.1%)가 정상화됐다. 1등급 업무는 38개 중 20개(52.6%)가 정상화됐다. 2025.10.1 dwise@yna.co.kr

전산 시스템 장애에 따라 110·120 콜센터를 통해 민원상담이 들어오고 있고,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과 같이 일상과 관련된 시스템의 이용 불가 이유와 복구 시점에 대한 문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부24, 무인민원발급기 등이 정상화하면서 민원 상담은 줄어드는 상황이다.

이번 전산망 장애로 우체국 쇼핑몰에 입점한 소상공인의 피해액이 126억원에 달하는 등 피해가 막대한 만큼 여러 지원책이 가동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추석 성수기에 영업을 못 하게 된 우체국 쇼핑몰의 입점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33억원어치 물품을 직접 구매한다. 정상 가동 이후에도 한 달간 판매 수수료를 면제해 매출 회복을 돕기로 했다.

중소기업벤처부는 해당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2천400여개 업체에 대해 민간 온라인 쇼핑몰 입점을 지원한다. 업체당 200만원의 쿠폰도 지급한다.

조세심판원은 장애가 해소된 날부터 14일 이내에 제기되는 심판 청구는 기한 내 청구한 것으로 인정하는 연장 조치를 시행한다.

김민재 차관은 국정자원 화재로 인한 보안공백 우려에 대해 "국가정보통신망의 보안장비는 가동 중이었고, 대전센터 통신망의 보안장비는 일시 중단했으나 시스템 가동 전 통신과 보안장비를 먼저 가동한 후 일반시스템을 가동해 보안 공백은 없게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추석 연휴가 끝나면 국정감사가 시작된다"며 "국회의 자료요구가 많을 것으로 예상돼 공문서 결재 및 문서 수발신이 이뤄지는 '온나라 문서 시스템'을 신속 복구해 국정감사에서도 차질 없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eddi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4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인기순|최신순|불타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