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재입국 된다지만…"이제 못 갈 것 같다"·"출장 논의도 없어"

(영종도·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김준태 최윤선 김지헌 기자 = 천신만고 끝에 미국 구금시설을 벗어나 귀국한 한국 근로자들은 추후 다시 미국에 가고 싶지 않다고 했다.
12일 전세기편으로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한 협력업체 소속의 직원은 "이제 (미국에) 못 갈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체포 당시 미국 당국이 근로자들에게 총구를 들이밀었다는 얘기도 들었다면서 다시 미국에 가라고 해도 안 갈 것 같다고 고개를 저었다.
귀국하는 근로자들을 기다리던 다른 협력업체 소속 직원들은 추후 미국 출장 계획에 대해 "아직 전혀 그런 움직임이 없고 논의조차 없다"면서 "지금은 고생하신 분들이 안전하게 귀가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아들을 기다리던 어머니는 "이제 무서워서 못 가지 않겠느냐"며 "주재원도 못 가게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구금됐던 이들과 가족들은 무비자 입국 프로그램인 전자여행허가(ESTA) 등으로 미국에 출장 가던 관행과 비자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전세기를 타고 온 한 직원은 자신은 미국에 처음 갔는데 회사 측에서 여행자 비자가 있으면 충분하다고 했다고 전했다.
동생을 기다린다던 어느 가족도 "조심스럽긴 하지만, (동생이) 회사 때문에 비자를 그렇게(여행자 비자 등) 받았던 것"이라며 "일종의 관행으로 암묵적으로 이뤄졌던 일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공항에서 국민들을 맞이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미국) 재입국 여부는, 당장 가능한 분은 LG엔솔에서 준비하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당분간 이번에 들어오신 분들은 심리치료 등 상황이 있어서 바로 출국하는 것을 회사 차원에서 권고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고 전했다.
귀국 직원의 한 가족은 "정부에서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게 해준다는데, 어떻게 세부적으로 한다는 것인지 답이 없어서 불안한 상태"라고 호소했다.
이날 전세기를 타고 국민들과 함께 귀국한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은 "확실히 하기 위해서 (비자에 따른 가능 업무 등에 대한) 해석의 문제를 한미 양국 간에 잘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j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