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한국 연예
민희진 "임성한급 막장"…하이브, '노예계약' 주장에 코웃음 '팽팽' (엑's 현장)[종합]
엑스포츠뉴스입력

민희진 어도어 전 대표가 하이브 정진수 CLO(최고법률책임자)와 팽팽한 의견 대립을 이어갔다.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합의31부(남인수 부장판사) 심리로 11일 민 전 대표 등 3명이 하이브를 상대로 낸 풋옵션 행사 관련 주식매매대금 청구 소송 변론기일이 진행됐다.
이날 민 전 대표는 체크무늬 재킷에 진청바지 차림으로 대형 택시를 타고 법원에 모습을 드러냈다. 하이브와 끝없는 법정 싸움 중에도 민 전 대표는 여유롭게 웃었다.
하이브 측 증인으로 정 CLO가 출석한 가운데 정 CLO는 민 전 대표의 계약 관련 질문에 "파격적인 13배 멀티플 보상이 포함돼 있었다. 굉장히 파격적인 보상을 약속한 것"이라며 이는 박지원 CEO와 민 전 대표의 협의 하에 결정됐다"고 밝혔다.

앞서 민희진 전 대표는 지난해 11월 하이브에 풋옵션 행사를 통보했다. 민희진과 하이브가 맺은 주주 간 계약에 따르면 민희진이 풋옵션 행사 시 어도어의 직전 2개년도(2022~2023년) 평균 영업이익에 13배를 곱한 값에서 자신이 보유한 어도어 지분율의 75%만큼의 액수를 하이브로부터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어도어는 뉴진스가 데뷔한 2022년 40억원의 영업손실을 봤지만, 2023년 335억원을 기록했다. 민희진이 보유한 어도어 주식은 57만3160주로 지분 18%에 해당한다. 풋옵션 행사 시 민희진이 받을 수 있는 금액은 260억원 가량으로 추정된다.
민 전 대표는 이를 '노예계약'이라 일컫기도 했는데, 정 CLO는 "그걸 불공정 계약이라고 말씀하신다면, 저는 동의하지 않는다. 당시 사람들이 민희진 계약에 대해 보도 됐을 때 '이게 노예 계약이면 기꺼이 노예가 되겠다'는 반응이 많았던 걸로 기억한다"고 전했다.
다만 민 전 대표에게만 '특별 조항'이 포함된 이유에 대해선 "민희진이 근무하면서 여러 부서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업무 협약서를 맺었을 때 회사를 보호할 수 있는 명시적인 규정이 없으면 그런 (문제가 될만한) 일이 반복될 우려가 있어서 그런 조항을 명시적으로 마련, 집어넣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하이브 측 법률대리인이 "민희진이 '노예 계약'이라고 주장하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정 CLO는 "제가 알기론 풋옵션에 따라 주식이 행사되고 남아있는 지분이 처분될 때까지 본인이 계속 계약 당사자로 남아 있게 되는데 그 지분을 처분하지 못하면 회사에 대해서 경업을 금지하게 되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노예계약을 주장하는 듯하다"며 "박지원에게 문제가 있다는 취지로 (민희진이) 여러차례 문제를 제기했고 그 조항에 문제가 없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만약에 정말 그런 우려가 있다면 조항을 기꺼이 고쳐주겠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이브 측은 민 전 대표의 '뉴진스 빼내기' 의혹을 거듭 제기하며 지난해 내외로부터 의심스러운 제보를 여럿 받았다고 밝혔다. 정 CLO는 "2024년 2월 경에 박지원에게 당시 사외이사가 '어도어 사람들이 독립 계획을 짜고선 도와달라고 한다. 알고 있냐. 확인해봐라'라고 하더라. 3월엔 CSO(최고전략책임자)에게 '민희진이 갑자기 독대 요청을 하는데 왜 만나자고 하는지 모르겠다. 의심스럽다. 알고 있어라'라고 연락해줬다. 어도어 부대표는 여의도 증권사의 애널리스트들을 만나면서 하이브 아티스트들이 밀어내기를 하는 것 같다는 허위제보를 하고 다닌다고 하더라"라고 이야기했다.
이 밖에도 민 전 대표가 직접 일본에 가서 투자자를 만난다거나 일본 투자자가 직접 한국에 왔다고도 주장했다.
아울러 민희진에 대한 조사를 착수한 결과, 어도어 부대표가 작성하고 있던 '프로젝트 1945', 하이브 7대 죄악, 민희진 업무용 계정에선 무속인과 나눈 카톡 첨부파일들을 발견했다는 말과 함께, '(하이브를) 궁극적으로 빠져나간다', '건드리지 못하게 한다', '어도어를 빈 껍데기로 만든다' 등의 대화도 나눴다고 했다.

그런가 하면 민 전 대표의 심문도 이어졌다. 민 전 대표는 "공평하게 이야기를 나누려고 왔는데, 하는 말에 거짓말이 너무 많다. 안 왔으면 큰일 날 뻔했다"고 말문을 열었다.
민 전 대표는 "경업금지 조약이 노예계약이면 풀어주겠다고 했는데 정진수 님은 제게 뭐든 약속한 게 없다. 아까 풀어주신다고 했는데 위증하셨다"면서 "제가 기억하기론 박지원이나 정진수나 둘 다 확답 또는 긍정적인 시그널이 없었다. 녹취록에도 있다. 왜 거짓증언 했냐"고 받아쳤다.
정 CLO는 "우리가 절대 못 바꿔준다는 표현은 하지 않은 것으로 기억한다. 그날 (회의는) 무슨 이슈가 있고 어떻게 생각하는지 듣는 자리였다"고 했고, 민 전 대표는 "듣는 자리인데 풀어준다고 대답했냐. 위증하면 안 되는데"라고 말했다. 정 CLO는 이에 "그 자리에서 명백하게 말씀드린 적 없다. 말꼬리 잡으면 대답할 의미가 없다"면서 팽팽하게 맞섰다.

또한 민 전 대표는 외부 투자자를 만났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만난 적이 없다", "제가 만났다면 왜 증거로 제출하지 않았냐" 등 사실과 다르다며 반박했다.
어도어 부대표와의 카톡에 대해서도 '짜깁기'라고 주장하며 "임성한 작가급 막장 드라마를 쓰시는 것 같다. 카톡 전문을 내라"라고 힘주어 말했다.
한편, 재판부는 민 전 대표에 대한 당사자 본인 신문을 오는 11월 27일 진행하기로 했다. 변론 종결은 오는 12월 18일 이뤄질 예정이다.
사진=엑스포츠뉴스 고아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