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교육감 출마예정자들, '노무현 학교장' 직함 사용 연일 갈등

(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실시되는 광주시교육감 출마 예상자 대상 여론조사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 이름이 들어간 직함을 사용하는 것을 두고 출마예정자들이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김용태 전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은 7일 입장문을 내고 "이 직함은 특정 개인이 임의로 만들어낸 명칭이 아니라 광주에서 수년간 운영한 시민학교 대표이자 책임자로서 사용한 정당한 직책"이라며 "공정성을 해친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교진 세종시교육감도 2012년부터 4차례 교육감 선거에서 '노무현재단 대전세종충남 공동대표'라는 직함을 홍보물과 여론조사에서 아무런 문제 없이 사용했다"며 "다른 지역에서 문제 없이 사용된 직함을 광주에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야말로 억지 주장"이라고 강조했다.
또 "일부 출마 예정자들이 제 경력을 문제 삼으며 여론조사를 보이콧하는 행위야말로 민주적 절차와 공정성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광주시교육감 선거 출마예정자로 거론되는 정성홍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과 오경미 전 광주시교육청 교육국장은 성명을 내고 "교육과 무관한 정치적 인물의 이름을 여론조사용 경력에 사용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예정된 여론조사를 거부했다.
이정선 광주시교육감도 전날 여론조사 거부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노무현재단 광주 시민학교장' 직함을 사용했을 때와 하지 않았을 때 지지율이 최고 21%, 최저 6%를 기록하며 1위와 4위를 오가자 여론조사 방식과 결과에 대한 공정성과 신뢰성 의문을 제기했다.
i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