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세계

中 "김정은, 9월 열병식 참석"…북중러 정상 처음으로 한자리에(종합2보)

연합뉴스입력
김정은, 6년만에 5차 방중…韓우원식 국회의장 등 외국 고위급도 참석 한미일 對 북중러 구도…'中이 북미대화 촉진' 전망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베이징·서울=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김지헌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는 9월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기념행사 열병식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중국이 28일 밝혔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는 이날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전승절 80주년) 기념활동' 준비 상황 브리핑에서 "시진핑 주석의 초청으로 26명의 외국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뇌가 기념 활동에 참석한다"며 김정은 위원장 등 참석자 명단을 발표했다.

우리 정부는 김 위원장의 방중 계획을 미리 알고 있었다고 밝혔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관계기관을 통해 (김 위원장의 방중 계획을) 알고 있었고, 오늘 발표될 것이라는 얘기도 오늘 아침에 보고받았다"고 말했다.

외교부 당국자도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과 관련해 한중 간 소통을 지속해 왔으며, 상기 사실은 관계기관의 정보를 통해 인지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중국 측은 외교 경로를 통해 한국 측에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 계획을 통보했다고 한다.

훙 부장조리는 "중국과 조선(북한)은 산과 물이 이어진 우호적 이웃"이라며 "우리는 김정은 총서기(총비서)가 중국을 방문해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활동에 참석하는 것을 열렬히 환영한다"고 말했다.

세계 반파시스트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을 말한다.

그는 "고난과 역경의 전쟁 시기, 중조(중북) 양국 인민은 서로 지지하고 함께 일본 침략에 맞서 세계 반파시스트전쟁과 인류 정의 사업의 승리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면서 "중조의 전통적 우호를 잘 지키고 공고히 하며 발전시키는 것은 중국 당정의 굳은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훙 부장조리는 "중국은 조선과 함께 교류·협력을 계속 강화하면서 사회주의 건설을 추진할 용의가 있다"며 "이 길에서 함께 손잡고 앞으로 나아가면서 지역의 평화·안정을 촉진하고 국제적 공평·정의를 지키는 사업에서 긴밀히 협조해 중조 전통적 우호의 새로운 장(章)을 써 내려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북한 조선중앙통신 역시 중국의 참석자 공개와 비슷한 시각 김 위원장이 시 주석 초청으로 중국 전승절 80주년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곧 중국을 방문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측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베트남과 라오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파키스탄, 네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벨라루스, 이란 등의 정상이 이번 행사에 참석하기로 했다.

북중러 지도자가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탈냉전 이후 처음으로, 한국 대통령의 일본·미국 방문 이후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가 다시금 강화되는 모양새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중국이 북한의 대화 복귀를 견인하는 창구 역할을 함으로써 오히려 이번 김 위원장 방중이 북미 대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중북 관계가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안정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나가길 기대한다"며 "우리는 남북 간 대화와 협력에 열려 있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한국의 우원식 국회의장과 미국·영국·프랑스 등 각국 인사도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자 명단에 올랐다.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도널드 트럼프 1기' 시절 남북·북미 대화 국면이던 2018년 세 차례, 2019년에 한 차례 등 모두 네 차례 있었다.

북중 양국은 수교 75주년을 맞은 지난해 북러 밀착 속에 공식 교류가 뜸해지면서 관계가 소원해졌다는 평가를 낳기도 했으나, 올해 초부터 다시 교류에 시동을 걸었고 결국 6년 만에 김 위원장의 5차 방중이 성사되게 됐다.

김 위원장의 이번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은 다자 외교무대 데뷔이기도 하다.

xing@yna.co.kr

(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31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권리침해, 욕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 청소년에게 유해한 내용 등을 게시할 경우 운영 정책과 이용 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하여 제재될 수 있습니다.

인기순|최신순|불타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