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위협에도 러시아 손 못놓는 인도…"역사적 배경과 원유 때문"

(서울=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 인도가 미국의 '관세 폭탄' 위협에 직면했지만, 역사와 경제적 배경 때문에 러시아와의 우호 관계를 고수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에게 러시아와의 관계를 재설정하라고 설득하기 힘들 것이라면서 수십년간 이어져 온 양국 간 긴밀한 관계를 조명했다.
구(舊)소련이 해체되기 전인 냉전 시대 때부터 양국은 밀접한 관계였다.
소련은 1960년대 중국과의 긴장이 고조된 이후 인도와 급속도로 가까워졌다.
인도가 인접국인 중국·파키스탄 등과 마찰을 빚을 경우 소련은 인도를 외교적으로 지원했다.
특히 미국이 파키스탄을 지원하는 한편, 인도의 핵실험 이후 각종 제재를 가하면서 인도와 러시아의 관계는 더욱 긴밀해졌다.
이 같은 관계는 소련산 원유 공급으로 더욱 강화됐다. 1960년대에 소련은 국제 시세보다 10~20% 저렴한 가격으로 인도에 원유를 판매했다.
이와 함께 인도에 수십년간 무기와 일반 상품 구입을 위한 대출을 제공하기도 했다.
싱크탱크 인도전략연구소(ORF)의 하르시 판트 소장은 "인도 국민은 역사적인 이유로 러시아를 여전히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본다"며 "반면 미국에 대해선 항상 파키스탄 편에 가까웠다고 믿는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인도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에도 러시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에 동참하지 않았다.
인도는 러시아의 침공을 규탄하는 유엔 결의안에도 기권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기간 인도는 오히려 러시아산 원유를 대량 구매하면서 혜택을 받았다.
ORF에 따르면 지난해 러시아가 수출한 원유의 3분의 1 이상은 인도가 구입했다.
인도는 저렴하게 구입한 러시아산 원유로 국내에 휘발유를 더 싸게 공급하고, 해외에 석유제품을 팔아 높은 이윤을 챙겼다.
최근 인도 정유사들이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줄이면서 리스크 관리에 나섰지만, 원가 차이를 감안하면 러시아산 원유를 끊을 방법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중국은 인도보다 더 많은 러시아 원유를 수입했지만, 중국에 대한 의존이 심화하는 것을 경계하는 러시아 내 기류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 때문에 러시아 입장에서도 인도와의 관계를 더욱 중시한다는 설명이다.
최근 3년간 러시아와 인도의 교역은 690억 달러(약 96조 원)로 급증했다.

국방도 인도가 러시아에 의존하는 분야 중 하나다.
소련과 러시아산 무기는 인도군의 군수 자산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러시아가 미국과 달리 무기 수출과 관련해 기술이전과 자체 생산 지원에 적극적이라는 점도 이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꼽힌다.
인도는 지난달 러시아에서 신형 스텔스 호위함을 취역했고, 인도 국내에서 러시아의 기술 지원으로 호위함 2척을 건조 중이다.
또한 인도는 지난 2018년 미국의 제재 위협을 무릅쓰고 러시아의 최신형 S-400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구매하기도 했다.
미국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 안보전문가 애슐리 텔리스는 "인도가 러시아산 장비를 대체할 수 있더라도 실제 완전히 교체하는 데는 수십 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지나치게 러시아산 원유와 무기를 구매한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후 인도의 수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에 수출하는 인도 제품의 관세율은 50%로 치솟게 됐다.

kom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