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EU 정상회담, 전인대-유럽의회 회의 앞선 '올리브가지'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중국 당국이 은퇴한 라인하르트 부티코퍼 유럽의회 전 의원(독일 녹색당)에 대한 제재를 해제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6일 보도했다.
부티코퍼 전 유럽의회 의원은 EU 회원국 지도자들을 상대로 중국의 분열 전략을 경계해야 한다는 논리를 지속 설파했던 인물로 2021년 3월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인권 문제를 공개 비판했다가 중국 정부의 제재 대상에 올랐다.

부티코퍼 전 의원은 중국 제재에도 반중국·친대만 활동을 이어오다가 2024년 은퇴했다.
중국 당국의 부티코퍼 전 의원 제재 해제 결정은 이달 24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유럽연합(EU) 정상회담을 앞두고 나온 것이다. 정상회담에서 EU 회원국 정상들은 시진핑 국가주석과 리창 총리를 만나 현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SCMP는 중국-EU 정상회담 이외에도 10월로 예정된 중국 의회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NPC)와 유럽의회 대표단 간 브뤼셀 회담을 앞두고 부티코퍼 전 의원에 대한 제재를 해제한 것으로 해석했다.
이 신문은 2018년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중국 NPC와 유럽의회의 공식회의를 앞두고 지난 4월 중국 당국이 제재 대상인 유럽의회 현직 의원들에 대해 해제를 결정했으나, 여기에는 부티코퍼 전 의원의 경우 대상이 아니었고 근래 추가로 포함됐다고 전했다.
유럽의회 중국대표단 단장인 엔긴 에로글루 의원은 "유럽의회의 전현직 의원에 대한 근거 없는 제재를 해제하는 것이 NPC와 유럽의회 회의를 재개하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나 중국 당국은 베를린 소재 싱크탱크인 메르카토르 중국학연구소(MERICS)의 연구자들과 독일인 학자 아드리안 젠츠를 비롯해 유럽의회 및 네덜란드·벨기에·리투아니아 의회 의원 등과 EU 이사회 정치안전위원회 등에 대한 제재는 지속된다고 확인했다.
이에 EU 측도 중국 신장위구르 지역에서의 인권 침해를 우려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EU와 미국 등은 2019년부터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무슬림 소수민족이 구금과 강제 노동에 내몰린다는 의혹 제기와 함께 신장위구르산 면화 불매운동을 폈으며, 2021년 신장위구르의 인권 문제를 이유로 중국 관리 4명과 단체 1곳을 제재하자 중국도 제재로 맞대응한 바 있다.
kjih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