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 선진국들의 영향권 아래에 있던 아프리카가 핵심광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각국이 새로운 기회를 찾아 눈을 돌려야 하는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아프리카는 세계 주요 최빈국이 몰려 있는 등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개발도상국이 많다. 하지만 아프리카 대륙 국가의 수는 유엔 회원국(193개)의 28%(54개)에 달해 국제무대 의사 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협력 파트너다.
한국은 지난해 6월 사상 최초로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등 뒤늦게 아프리카와의 협력을 본격화하고 있다. 하지만 동아시아 경제 강국인 일본과 중국은 오래전부터 아프리카에 공을 들여왔다.
일본은 1993년부터 유엔(UN), 유엔개발계획(UNDP), 세계은행(WB), 아프리카연합(AU)과 3년 주기로 아프리카 관련 사안을 논의하는 정상급 국제회의 '도쿄아프리카개발회의'(TICAD)를 개최하고 있다.
5년마다 열리다가 현재는 3년 주기로 열고 있으며, 지금까지 8차례 개최됐다. 올해 TICAD는 8월 20∼22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제9차 회의가 예정돼 있다.
일본은 TICAD를 기본축으로 아프리카와의 경제협력에 나서고 있다. 아프리카에 대한 경제원조를 통해 국제 외교무대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지를 확보하고, 일본 기업들의 아프리카 시장 진출도 지원하고 있다.
특히 2007년 10월 과학기술 협력 공적개발원조(ODA) 자금을 바탕으로 한 아프리카 자원외교 전략을 발표하면서 범정부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아프리카 시장 공략에 나섰다.

중국의 경우에는 일본보다 늦긴 했다. 그러나 2000년부터 아프리카와의 상호 교류를 위해 다자간 대화기구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FOCAC)을 열고 있다.
정상회의와 장관급회의로 나뉘어 3년마다 열리는 이 포럼은 중국과 아프리카에서 번갈아 가며 개최한다. 지난해 9월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하는 등 현재까지 9차례 진행됐다.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막대한 원조와 차관 등을 제공하면서 자원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대아프리카 경제협력 확대 정책을 토대로 제조업, 건설업, 자원개발 등 많은 중국 기업이 아프리카에 진출하고 있다.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외교장관)은 올해 초 나미비아, 콩고공화국, 차드, 나이지리아 등 4개국을 방문했다. 중국 외교 수장은 35년 연속 연초 첫 방문지를 아프리카로 선택해 눈길을 끌었다.
이처럼 일본과 중국은 자원 확보를 위해 앞다퉈 전방위 외교전에 나서고 있다.
아프리카는 통치권자가 절대적인 권력을 갖고 각종 정책을 결정하기 때문에 다른 나라들보다 정상회담이 경제협력의 가장 중요한 채널로 여겨진다.
raphae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