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AI 인재 확보 전쟁' 격화
경쟁사 인재 빼오기도
경쟁사 인재 빼오기도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빅테크들이 인공지능(AI) 인재 확보에 열을 올리면서, AI 엔지니어의 '몸값'이 치솟고 있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이 인간을 뛰어넘는 '초지능' 연구를 전담할 조직을 신설하면서 경쟁사인 오픈AI의 연구원들을 빼가 두 업체 간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일(현지시간) 빅테크들이 인재 확보에 사활을 걸면서 AI 엔지니어와 연구자의 급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AI 엔지니어들의 일반적인 급여 패키지는 1년에 300만∼700만 달러(약 40억8천만∼95억3천만원)로 2022년 대비 50%가량 급등했으며, 최고 수준 인재의 경우 1천만 달러(약 136억2천만원) 이상이라는 것이다.
인재 채용업체 해리슨클라크에 따르면 빅테크들이 중간∼선임 수준 AI 연구자에게 주는 급여 패키지는 2022년 40만∼90만 달러(약 5억4천만∼12억2천만원) 수준이었는데 최근에는 50만∼200만 달러(약 6억8천만∼27억2천만원)로 올랐다.
이는 AI 경력이 없는 선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기본급이 통상 18만∼22만 달러(약 2억4천만∼3억원) 수준인 것과 비교된다.
다른 채용업체 리비에라파트너스의 AI업계 담당자 카일 랭워디는 기업들의 인재 영입 경쟁이 몇 년 사이 극도로 치열해졌다면서 "어떤 업체들은 인재를 끌어들이기 위해 무엇이든 하려는 것처럼 느껴진다"고 말했다.

앞서 메타는 초지능 연구소 설립을 위해 AI 스타트업 스케일AI에 143억달러(약 19조5천억원)를 투자하기로 하고,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알렉산더 왕을 영입했다.
깃허브 CEO를 지낸 냇 프리드먼도 메타에 합류해 왕과 함께 연구소를 이끌 것으로 전해졌다. 메타는 오픈AI(8명)·딥마인드(2명)·앤스로픽(1명)에서도 연구원 11명을 추가로 영입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지난달 중순 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메타가 오픈AI 연구원들에게 이직 시 최고 1억달러(1천362억원)의 보상 패키지를 제안했다면서 "미친 짓"이라고 비난한 바 있다.
오픈AI의 마크 첸 최고연구책임자(CRO)는 최근 직원들에게 보낸 사내 메모를 통해 "누군가 우리 집에 침입해 무언가를 훔쳐 간 것 같은 느낌"이라면서 "보상을 재조정하고 있으며 최고의 인재를 인정하고 보상하기 위한 창의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했다.
급여 수준을 추적하는 웹사이트 레벨즈를 보면 메타는 AI 엔지니어에게 18만6천∼320만 달러(약 2억5천만∼43억5천만원)를 주고 있다. 오픈AI의 경우 21만2천∼250만 달러(약 2억8천만∼34억원) 수준인데 중간값은 메타보다 높다.

다만 연구자들은 높은 급여보다 팀 리더의 명성, 업무의 질 등을 우선시하는 경우도 흔하다고 채용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연구 자율성이나 업무의 사회적 파급력을 중시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해리슨클라크 관계자는 "연구자들은 자신이 하는 일의 종류에 따라 인센티브를 느낀다"면서 "딥마인드·오픈AI 등에서 메타로 가면 기존 기업에서 했을 수준의 일을 못 하게 될 위험이 항상 있다"고 말했다.
실리콘밸리에서 AI 연구자들의 몸값이 뛰면서 유럽 등 다른 지역으로 눈을 돌려 인재 채용에 나서는 기업들도 있다고 FT는 전했다.
bs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